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황여일(黃汝一)

추천0 조회수 13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황여일(黃汝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황여일(黃汝一) 호 : 해월헌(涇月軒)·매월헌(梅月軒) 활동시기 : 조선시대 본 관 : 평해(平涇) 출생시기 : 556(명종 11) 출 생 지 : 556(명종 11) 시대 : 조선시대 상세설명 조선시대 문신인 해월 황여일은 1556년 10월 21일 기성면 사동리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여일‚ 자는 회원 호는 해월이라 하였다. 1569년에 간성에서 진사시험이 있어 가는 길에 삼척 죽서루에 올라 시 한수를 읊었는데 당시 삼척 부사 양사언이 감탄 하였으며 이 시험에 장원급제하였다. 1585년에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예문관 검열‚ 춘추관 기사관‚ 승문원 부정‚ 회룡 전사관을 거친 후 선조대왕의 어명으로 호당(왕립도서관)에서 근무 하였다. 1589년 입시야강(임금님의 개인교수)에 임하였고 1590년 10월에 정은신과 이일 및 신립 장군과 함께 선조의 왕명에 의해 궁중의 선정전에서 국방에 관하여 논의하게 되었다. 1592년 4월에 함경도 고산 찰방에 임명된 며칠뒤에 임진왜란(1592년 4월 13일)이 일어나 부임하자 곧 함경감사에게 왜병과의 임전계획을 협의하였으나 유영입이 말을 듣지 아니하여 결국 함흥이 함락되니 세상은 무법천지가 되고 말았다. 이때 선생은 개유문을 써서 방을 부치고 치안 유지에 힘썼다. 그 후 조정에서는 윤탁연을 함경감사로 임명하고 해월은 종사관이 되었다. 종사관으로서 군병모집‚ 군량미 조달 등 선무공작을 하던중 회령의 관속 국경인이 반역하여 많은 관군을 죽이고 두 왕자와 신하들을 사로잡다. 적장 가등청정에게 투항하니 선생도 같이 포로가 되었다가 그 해 7월에 두 왕자와 함께 석방되었다. 석방 즉시 삼수사 윤경로와 의논하여 왜적을 물리칠 계획을 수립하던 중 함훙의 토호 진대유 부자가 왜적에 투항하고 그 앞잡이가 되어 백성을 괴롭힘에 잡아다가 죽이고‚ 그 해 10월에 윤경로와 함께 함흥을 공략하여 주야 3일동안 악전 고투 끝에 왜적을 50리 밖으로 물리쳤다. 1593년 그 공으로 형조정랑에 특진되었다. 이때 영의정 유성룡이 명장 이여송에게 명군의 횡포가 심하므로 이를 금해줄 것을 건의하다가 봉변만 당하고 돌아온 후 해월을 강산 금단관에 임명하고 해월에게 지시하기를 공은 의주에 가서 명군과 작당하여 백성을 괴롭힌 소통사를 샅샅이 조사하여 목베이도록 하니 그는 소임을 다하여 이의 폐단을 없앴다. 이 해 8월 선조대왕을 모시고 환도한 후 명장 이전종을 찾아가 화전법을 배워 유성룡에게 보고하여 그 보급에 힘썼다. 1594년 9월에 도원수 권율 장군의 종사관으로 행주대첩에 절대적인 공을 세워 임란사를 빛나게 하였으므로 국가 2등공신이 되었고 1595년 4월에 권율 장군을 따라 진주싸움에 참전 하여 또한 큰 공을 세웠으며 이순신 장군과 여러차례 만나 국사를 의논하고 작전을 협의하 였다. 1598년 명나라에 비변사(정사 이항복‚ 부사 이정구.서장관.황여일)로 갔을 때에 이태리사람 [마테오리치]의 감수를 받아 손수 제작한 세계지도는 현재 숭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동양 유일품이다. 그 후 조천록을 지었으며 1623년 4월 2일 67세 로 영민하시니 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 경연의 금부‚ 성균관사‚ 홍문관제학‚ 예문관제학‚ 세자좌 부빈객 등의 벼슬을 추증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