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황준량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황준량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황준량 호 : 중거/금계 활동시기 : 조선시대 상세설명 자는 중거(仲擧)‚ 호는 금계(錦溪)‚ 본관은 평해(平]涇)이다. 황치(黃穉)의 아들로서 1517년(중종12) 풍기 욱금동(郁錦?)에서 태어났다. 일찍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서기 1537년(중종32)에 생원(生員)이 되고‚ 1540년 식년문과(式年文科)의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학유(學諭)를 거쳐 시평(詩平)이 되었으나. 전에 부탁을 거절 당했던 자가 언관(言官)이 되어 모함을 하자 중거는 외직(?職)을 자청하여 신령(新寧)현감으로 나갔다. 그후 단양(丹陽)군수를 지내고 1560년(명종15)엔 성주(星州)목사를 역임했다. 특히 퇴계 이황의 문하(門下)로서 주자학(朱子學)의 연구에 심취하여 스승 퇴계와 학문의 내용을 서장(書狀)으로 자주 문답하였다. 소수서원에 자주 출입하여 유생들을 격려했고‚ 풍기 금계동 금선계곡(錦仙溪谷)에 금계정사(錦溪精舍)를 짓고 후학생들의 교육에 힘썼다. 1563년에 병으로 돌아가셨고 풍기의 우곡서원과 신령의 백학서원에 배향했었다. 저술로는 금계집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