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슬기롭게 사이좋게-초등 교과서 속 한글 이야기 展

추천0 조회수 160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슬기롭게 사이좋게-초등 교과서 속 한글 이야기 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6-03-18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네이버 미술캐스트 슬기롭게 사이좋게-초등 교과서 속 한글 이야기 展 ‘슬기롭게 사이좋게-초등 교과서 속 한글 이야기’의 전시장 입구 전경 국립한글박물관은 2016년 첫 기획특별전 ‘슬기롭게 사이좋게-초등 교과서 속 한글 이야기’를 2016년 3월 17일부터 2016년 5월 29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사회적 관계의 성장과‚ 소통의 기본인 우리말과 글의 배움에 나침반이 되어 준 초등 교과서를 소개한다.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초등 교과서를 통해 ‘우리’라는 공동체로 함께 꿈꾸는 법을 보여 준다. 전시장은 ‘나’의 개념을 세우고‚ ‘나’와 ‘너’에서 ‘우리’로 뻗어나가는 관계의 성장을 반영한 하나의 길로 이루어졌다. 1부 ‘나와 너로 시작하는 길’에서는 내 주변의 작은 관계‚ 한글 교육을 다룬 교과서와 다양한 삽화를 볼 수 있다. 2부 ‘우리가 함께 걷는 길’에서는 사회 속 큰 관계와 시대를 반영한 더 큰 ‘우리’의 모습을 만나 보고‚ 보다 다양한 소통에 관한 교과서의 내용을 체험할 수 있다. 전시장 전경 “나와 함께 하는 우리‚ 우리와 함께 하는 나” 초등 교과서는 전문적인 교과 지식에 앞서 기본적으로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는 방법’을 담고 있다. 아침에 일어나 가족에게 인사하고‚ 학교에서 만난 친구와 선생님에게 인사하고‚ 도움을 받았을 때는 감사 인사를‚ 잘못을 했을 때는 사과 인사를 해야 한다는 초등 교과서의 내용은 관계 짓기를 위한 기본 중의 기본이다. ‘나’를 세우고‚ ‘나와 너’에서 ‘우리’로 나아가는 관계의 성장을 반영한 전시장에서는 교과서가 아닌‚ 교과서 속 슬기롭고 사이좋게 꿈꾸는 방법을 전시한다. 교과서가 안내하는 관계의 성장 “하루 속 작은 관계‚ 일 년 속 큰 관계 짓기” 새 학기가 되면 새로운 마음으로 짜는 생활계획표. 이 작은 동그라미 안에는 하루 동안 만나는 내 주변의 작은 관계가 들어 있다.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에 가면서‚ 학교에서‚ 집에 돌아와서 만난 사람들과 나누는 인사나 함께 지켜야 할 규칙 등을 교과서 속 삽화와 함께 보여 준다. ‘안녕하다‚ 고맙다‚ 미안하다‚ 괜찮다’ 등 흔하게 쓰고 있는 인사말의 유래도 곳곳에 숨어 있다. 하루 속 작은 관계를 보여 주는 인터렉티브 영상 초등 교과서는 내 가족‚ 학교와 같은 작은 관계를 넘어 이웃‚ 사회‚ 국가라는 점점 크고 넓은 관계도 보여 준다. 우리 마을‚ 우리 환경‚ 우리 사회‚ 우리나라 등 보다 큰 공동체 단위를 인식하고 그와 관련된 주제를 접하는 것은 더불어 사는 방법을 알아 가기 위한 필수 내용이다. 전시장에서는 큰 공동체를 이해할 수 있는 교과서 속 내용을 교과서 실물과 디지털 영상으로 보여 준다. 우리 마을과 관련된 전시코너에서는 우리 마을과 마을 사람들이 하는 일에 대한 관심과 그 일이 소중한 이유를 보여 줌으로써 함께 더불어 사는 의미를 전한다. 1960년대부터 2010년대의 마을 삽화를 통해 다채롭게 변화한 마을의 모습도 볼 수 있다. “소방서 아저씨들은‚ 날마다 높은 망대에 올라가서‚ 우리 동네를 내려다봅니다.” 『국어 2-1』‚ 1963 “우체부 아저씨는 날마다 편지도 전해 주고‚ 소포도 갖다 줍니다.” 『국어 2-1』‚ 1963 “여러분의 이웃에 사시는 분들은 무슨 일을 하시나요?” 『바른생활 1-2』‚ 1982 “그런 일을 하시는 분이 없으면 우리에게 어떤 불편이 있을까요?” 『바른생활 1-2』‚ 1982 보다 큰 공동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교과서 속 내용 전시 한편 교과서를 시대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배경에 따라 공동체와 관련된 주제에 접근하는 방식도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우리 환경과 관련된 내용 가운데 1959년에 나온 『국어 4-1』은 같은 해 발표된 ‘경제개발계획’에 맞추어 나무를 심어 잘 가꾼 산이 나라의 경제 발전과 관련됨을 강조한다. 2000년에 나온 『말하기 · 듣기 3-2』는 ‘지구촌’이라는 말이 일반화되면서 우리나라뿐 아니라 지구를 깨끗하게 만들자는 보다 넓은 공동체 의식을 보여 준다. “여러분! 이 모나무(묘목)는 …. 무럭무럭 자라서‚ 우리 나라 살림에 큰 구실을 할 것입니다.” 『국어 4-1』‚ 1959 “우리는 지구라는 배를 타고 있습니다. 지구에 불행한 일이 닥친다면‚ 우리도 불행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말하기 · 듣기 3-2』‚ 2000 시대별 언어 · 문자 교육의 변화: “나와 너를 잇는 말과 글” 좋은 관계를 위한 소통과‚ 꿈을 키우기 위한 학습의 시작은 말과 글을 아는 것이다. 이 때문에 초등 교과서에는 잘 읽고 쓰고‚ 잘 말하고 듣기 위한 내용이 빠지지 않는다. 언어 · 문자 교육 내용은 사회적 배경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에 따라 달라져 왔다. 시대별 언어 · 문자 교육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교과서 전시 광복 직후에는 높은 문맹률을 낮추기 위한 글자 중심 교육이 강조되었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는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 교육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1980년대 말~1990년대 초가 되면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언어 기능 교육이 강화됨에 따라 ‘말하기 · 듣기‚ 읽기‚ 쓰기’ 교과서가 각각 따로 나오게 된다. 이후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 교육을 강조함에 따라 ‘말하기 · 듣기‚ 읽기‚ 쓰기’는 다시 ‘국어’로 합해지게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만들어진 최초의 초등 국정 교과서 『바둑이 와 철수』(1948). ‘어린이의 말하기를 사회화하기 위하여 자연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주기 위해’ 편찬된 『바둑이 와 철수』는 ‘철수‚ 영이‚ 바둑이’라는 주인공들의 일상을 보여 주는 이야기 형식을 통해 글자나 단어가 아닌 문장을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한글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도구를 사용하기도 했다. 오늘날 아이들의 한글 학습을 위해 벽에 붙여 놓는 한글 가나다표의 출발인 한글 반절표는 18세기부터 나타났다. 한글 모아쓰기 원리를 담은 한글 돌림판은 1936년에 만들어진 조선어 철자기를 통해 만나 볼 수 있으며‚ 전시장에 설치된 모형을 통해 직접 체험할 수도 있다. 한글 모아쓰기 원리를 적용하여 만든 조선어 철자기(1936). 첫소리를 위한 자음판‚ 가운뎃소리를 위한 모음판‚ 끝소리를 위한 받침판을 돌려 가며 다양한 글자를 만들 수 있다. 당시 조선어 학회에서 이 철자기의 사용을 추천하는 내용이 담긴 광고지도 있다. 움직이고‚ 만들고‚ 부르는 오감 소통 체험: 초등학교 예 · 체능 교과서 속 활동 초등학교 미술‚ 체육‚ 음악 교과서에는 그리고‚ 움직이고‚ 부르는 다양한 소통 방식이 놀이의 형태로 들어 있다. 모든 놀이에는 함께 지켜야 할 규칙이 있어서 바른 관계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hangeul.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