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봉래도권

추천0 조회수 6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봉래도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봉래도권 한자명칭 蓬萊圖卷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1786년> 재질 지(紙) / 종이에 엷은 채색 작가 김윤겸(金允謙‚ 1711-1775) 용도 문화예술(文化藝術)-서화(書?) 크기 27.4x38.8cm(그림)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02389-003 공유하기 진재(眞宰) 김윤겸은 18세기 중엽 이후 활동한 화가로 평생 기행사경에 몰두하여 독특한 진경산수화풍을 이룩하였는데‚ 그의 금강산 그림은 정선(鄭敾)의 화풍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면모를 보인다. 이 화첩 겉장에는 "진재봉래도권 완당장(眞宰峯萊圖卷 院堂藏)"이라고 적혀 있어 조선 말기의 대표적 문인 김정희(金正喜‚ 1786~1856)가 지녔던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전해진 글로 미루어 1786년작이며 김윤겸의 50대 후반의 기량을 보여주는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뾰족한 바위산의 표현과 나무를 표현한 수지법 등은 전형적인 정선의 화법을 따르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김윤겸의 개성적인 필치‚ 맑은 수묵 담채의 사용‚ 화면의 대각선 구도와 X자형 구도 등은 그가 나름대로 해석한 독특한 조형 의지와 구성력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정선의 영향이 느껴지나 세부적으로는 운필이 좀 더 차분하고 세밀한 편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봉래도권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