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화각함

추천0 조회수 8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각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화각함 한자명칭 華角函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재질 골각패갑(骨角貝甲)-화각(華角) 용도 주(住)-생활용품(生?用品) 크기 높이 24.3cm‚ 34.1x21.8cm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08962-000 공유하기 화각(華角)이란 소의 뿔을 얇게 펴서 투명하게 하여 일정한 크기로 만든 각지(角紙) 안 쪽 면에 광물성 안료(顔料)로 무늬를 그려 무늬가 그려진 면을 나무로 만든 물건 위에 덧붙여서 장식하는 것을 말한다. 바다거북 등딱지인 대모(?瑁)로 장식하는 기법을 대신하여 나타난 것으로 보는데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된 공예기법이다. 화각공예품은 소뿔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서 작은 물건의 제작에도 수십 장의 각지가 사용되고 제작과정이 복잡하지만 색채가 화려하고 장식성이 강하여 여성용품에 많이 이용되었다. 이 함은 붉은색 바탕에 모란‚ 학‚ 호랑이‚ 사슴‚ 거북이‚ 잉어 등의 동식물무늬와 거북이‚ 사슴 등의 동물 위에 앉아 있는 동자(童子) 무늬로 장식하였다. 동물 위에 앉은 동자 무늬는 도교적 성격의 소재로 화각제품에 자주 이용되는 소재이다. 함의 앞면과 뒷면에는 활모양의 들쇠를 부착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화각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