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한량패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량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한량패 한자명칭 閑良牌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재질 나무(木) / 木制 용도 사회생활(社會生?)-사회제도(社會制度) 크기 ① 9.4×2.6m ② 9×2.5cm ③ 8.9×2.5cm ④ 8.2×2.2cm ⑤ 8×1.9cm ⑥ 8.3×1.6cm ⑦ 7.6×1.5cm ⑧ 9.2×1.6cm 소장품번호 남산(南山)-002589-000 공유하기 한성부(漢城府)‚ 양주(楊州)‚ 포천(抱川) 등지에 거주하는 유생들이 차고 다니던 호패(號牌) 여덟 점이다. 조선시대에는 호패법에 따라 16세 이상의 남자들은 누구나 호패를 차고 다녀야 했는데‚ 이는 인구 수를 파악하고 신분을 증명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호패는 신분에 따라 기재 내용과 재질이 달랐다. 각각의 호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① 포천 유근식의 호패 : 앞면에는 ″포천방회(抱川坊會) 군내서부(郡內西部) 유근식(柳根植) 제오통일호(第五統一戶)″라고 적혀 있어 거주지의 통(統)‚ 호(戶)까지 알 수 있다. 뒷면에는 후대에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융희삼(隆熙三)″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② 서울 남부에 거주하는 한량 김종석의 호패 : 앞면에는 ″한량(閑良) 김종석(金宗石) 정해생(丁亥生) 병오식(丙午式)″이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거주지인 ″남부(南部) 두모방(豆毛坊) 신촌리계(新村里?)″가 적혀 있다. ③ 서울 북부에 거주하는 한량 유대길의 호패 : 앞면에는 ″한량(閑良) 유대길(劉?吉) 갑진생(甲辰生)″이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북부(北部) 훈창계(訓倉?) 신둔리(新屯里) 병술식(丙戌式)″이라고 적혀 있다. ④ 양주 유학 이관수의 호패 : 앞면에는 ″양주(楊州) 이관수(李觀秀) 유학(幼學) 정해(丁亥)″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병오식(丙午式)″이라고 적혀 있다. ⑤ 서울 서부에 거주하는 한량 유홍섭의 호패 : 앞면에는 ″서부(西部) 유홍섭(劉弘?) 임인생(壬寅生) 한량(閑良)″이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호패의 발급 연도인 ″기묘(己卯)″라고 적혀 있다. ⑥ 서울 북부에 거주하는 한량 김흥기의 호패 : 앞면에는 ″북부(北部) 한량김흥기(閑良金興基) 을축생(乙丑生)″이라고 적혀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한량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