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법화경 그림

추천0 조회수 10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법화경 그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법화경 그림 이명칭 묘법연화경제이권변상도 한자명칭 ?法蓮華經第二卷變相圖 국적/시대 한국(韓國)-고려(高麗) 재질 지(紙) / 종이에 금선묘 용도 종교신앙(宗敎信仰)-불교(佛敎) 크기 36.4x12.7cm(전체) 소장품번호 덕수(德壽)-002467-000 공유하기 화면 오른쪽에 석가모니 부처의 설법 장면을 그리고‚ 왼쪽 편에 경문(經文)의 설화 내용을 그린 『법화경』 제2권의 변상도이다. 석가 설법 장면은 오른손을 들어 설법에 열중하고 있는 부처와 그 주위를 아난과 가섭존자‚ 8대보살‚ 그리고 사천왕이 에워 싼 모습과‚ 그 앞에 두 손을 모아 합장을 한 청문중(聽聞衆)을 표현하였다. 화면 왼쪽에는 「비유품 譬喩品」에 나오는 불타는 집을 표현한 화택(火宅) 장면이 위쪽에 펼쳐지고‚ 그 아래에는 「신해품 信解品」 중에 집 나간 아들이 거지가 되어 돌아오자 그 아들을 놀라게 하지 않기 위하여 스스로 가난한 이가 되어 아들을 맞이한 후 20여 년이 지나서야 사실을 밝힌다는 내용이 그려져 있다. 그 아래에는 몽둥이를 든 아이와 도망가는 여우가 표현되어있는데‚ 이는 본 경전을 읽고 쓰고 하는 자를 미워하면 여우로 태어나 매 맞아 죽게 된다는 내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법화경 그림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