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동토 윤순거가 쓴 「풍화설월」

추천0 조회수 17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동토 윤순거가 쓴 「풍화설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동토 윤순거가 쓴 「풍화설월」 이명칭 동토윤순거선생필「풍화설월」 한자명칭 童土 尹舜擧 先生 筆 風花雪月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17세기 중반> 재질 지(紙) / 종이에 먹 작가 윤순거(尹舜擧‚ 1596-1668) 용도 문화예술(文化藝術)-서화(書?) 크기 31.5×20.0cm 소장품번호 덕수(德壽)-002932-005 공유하기 윤순거는 17세기의 문신이자 글씨에 이름 높았던 인물이다. 성리학의 거봉 성혼(成渾‚ 1535-1598)의 외손자로‚ 글씨는 증조부인 성수침(成守琛‚ 1493-1564)의 필법을 배웠다. 특히 초서로 이름을 떨쳤던 윤순거는 황기로(黃耆老‚ 1521-1567?)‚ 양사언(楊士彦‚ 1517-1584) 등 초서 대가들의 서풍을 두루 수용했고‚ 여기에 필치의 강한 기세를 결합하여 자신만의 초서체를 이루었다. 윤순거가 쓴 이 글씨는 글자 하나하나 마다 동감(動感)이 강하며‚ 필획의 속도감은 비백을 통해 드러난다. '풍화설월(風花雪月)' 글자 하나하나가 춤을 추듯 생동감이 있다. 여백 왼쪽에 윤순거 글씨의 자연스러움과 뛰어난 변화에 대한 찬사를 담은 평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동토 윤순거가 쓴 「풍화설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