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석조 불좌상

추천0 조회수 13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조 불좌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석조 불좌상 한자명칭 北周 石造交脚像 국적/시대 중국(中國)-남북조(南北朝) 재질 석(石) / 石 용도 종교신앙(宗敎信仰)-불교(佛敎) 크기 높이 79.7cm‚ 너비 41.5cm 소장품번호 덕수(德壽)-005381-000 공유하기 대좌 위에 교각 자세로 앉아 있으며‚ 두 손은 가슴앞에서 전법륜인(轉法輪印)을 결하고 있다. 상투모양의 머리[肉?] 부분이 파손되었으나 전체적으로 곱슬머리[螺髮]이며 윗부분을 묶었던 것으로 보인다. 둥글고 통통한 직사각형의 긴 얼굴은 왼쪽 눈 아래부분이 닳아 없어졌으나 눈·코·입이 뚜렷하며 길게 올린 눈꼬리로 인해 눈은 더욱 선명하게 보인다. 코는 일부가 닳아 없어졌으나 콧대가 오똑하다. 꽉 다문 입 아래의 인중은 윤곽이 깊어 당당하게 보인다. 옷주름은 두 어깨에 걸쳐져 변화를 주면서 다리 아래에까지 흘러 내리고 전체적으로 신체 위에 무겁게 덮여 있는 느낌을 준다. 대좌는 2단으로 구성되었는데‚ 가운데에는 교각상의 두 발을 받치고 있는 천왕(??)이 배치되었다. 이 교각상의 광배 뒤에 새겨진 글귀에 의하면 심서생(沈西生)의 발원에 의하여 578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전체적인 불상 양식은 섬서성 비림박물관 소장 북위(北魏) 황흥5년명(皇興 五年銘‚ 471) 석조교각(石造交脚像)과 매우 비슷하다. 복고적인 양식을 지닌 북주(北周) 교각상(交脚像)으로 추정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석조 불좌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