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나전 칠 포도 무늬 서류함

추천0 조회수 118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나전 칠 포도 무늬 서류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나전 칠 포도 무늬 서류함 이명칭 나전칠포도문서류함 한자명칭 螺鈿漆葡萄文書類函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18세기> 재질 나무(木) 용도 주(住)-생활용품(生?用品) 참고문헌 한국의 목공예‚ 박영규‚ 범우사‚ 1982‚ 도70 크기 높이 7.0cm‚ 길이 20.5cm‚ 너비 37.2cm 소장품번호 덕수(德壽)-006059-000 공유하기 나전(螺鈿)은 전복‚ 조개 등의 껍데기를 얇게 갈아 여러 가지 무늬로 오려내어 물건의 표면에 박아 넣는 장식 기법이다. 이 함은 뚜껑의 3분의 2 가량이 열리는 서류함이다. 윗면과 옆면에 걸쳐 나전으로 포도나무 한 그루를 사실적으로 표현하였고 여백에는 벌 한 쌍을 장식하여 생동감이 나도록 하였다. 포도나무의 잎과 포도‚ 넝쿨은 자개를 무늬대로 오려내는 줄음질과 휘어진 면의 자개를 오려낸 후 망치로 때려 붙이는 방법[打撥法‚ 打?法]으로 섬세하게 장식하였다. 몸체와 뚜껑의 각 모서리는 국화 모양 거멀장(여러 부재를 잇거나 벌어진 사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감아 쥐는 금속)으로‚ 네 귀는 귀 장식으로 단단히 고정했는데 뒷면에서 날카로운 정으로 때려 앞면에 점선이 도드라지도록 하여 장식 효과를 높였다. 포도 넝쿨은 회화성을 띠지만 잎새나 포도 알은 과장되고 도식화된 면이 있어 조선시대 도자기에 나타난 포도 무늬와 유사한 모습을 보여준다. 무늬의 대담한 배치와 구도‚ 사실적인 묘사의 시도‚ 바탕 여백의 활용 등 조선 중기 나전칠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나전 칠 포도 무늬 서류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