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대나무

추천0 조회수 7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나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대나무 이명칭 묵죽도 한자명칭 墨竹圖 국적/시대 중국(中國)-명(明) 재질 지(紙) / 종이에 먹 작가 진원소(陳元素) 기증자 이홍근(李?根) 용도 문화예술(文化藝術)-서화(書?) 크기 167.2x47.4cm(전체)‚ 90.6x28.4cm(그림) 소장품번호 동원(東垣)-002567-000 공유하기 금분(金粉)을 입힌 종이에 괴석(?石)과 함께 몇 그루의 가는 대나무를 표현한 죽석도이다. 몰골법으로 간략하게 그렸지만 꼿꼿이 위를 향하여 펼쳐진 댓잎의 표현에서 굽히지 않는 힘찬 기상을 느낄 수 있다. 화면 오른쪽 윗부분에 희미하지만 ″진원소(陳元素)″로 보이는 듯한 관서(款署)가 있어 그의 작품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진원소(陳元素‚ 17세기 전반 활동)는 장주(長?‚ 지금의 장쑤 성 쑤저우江蘇省 蘇州) 출신으로 자(字)는 고백(古白)이며 호(號)는 정문선생(貞文先生)으로 명대(明代)의 문학가이자 서화가이다. 산수도 잘 그렸으나 묵란에 더욱 뛰어난 것으로 전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대나무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