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이정보 초상

추천0 조회수 7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정보 초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이정보 초상 한자명칭 李鼎輔 肖像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1760년대> 재질 사직(絲織) / 비단에 채색 용도 문화예술(文化藝術)-서화(書?) 크기 102.4x52.6cm(그림) 소장품번호 신수(新收)-001652-002 공유하기 쌍학雙鶴 흉배를 부착한 청색 운보문단(雲寶紋緞)단령에 사모와 서대(犀帶)를 착용한 좌안칠분면전신교의좌상(左顔七分面全身交椅坐像)이다. <이정보 초상> 장년상(신수1652-1)보다 초상의 크기가 작다. 몸체가 왜소해졌으며 몸체와 대비했을 때 얼굴의 크기가 크다. 어깨는 매우 좁아 전체적으로 달걀형의 체형이다. 얼굴의 이목구비를 필선으로 구획하고 윤곽선 옆에 암적색으로 음영을 넣었다. 장년상의 얼굴과 비교하면 우선 노년상에서는 광대뼈가 강하게 드러나며 콧망울이 커지고 콧대가 짧아졌으며 눈 주위가 움푹 들어가 노인 특유의 쪼그라든 모습이 나타난다. 눈꼬리가 날렵하게 그려진 장년상과 달리 노년상의 눈은 눈꼬리가 잘룩하여 둔한 느낌이다. 이정보는 1762년 판중추부사로 정일품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에 승진되었는데 정일품 서대의 복식으로 보아 이 즈음의 초상으로 추정된다. 직선적인 요소가 많아 강건한 장년상에 반하여 부드럽고 아담한 노년상으로 장년상과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이정보 초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