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연정계회도

추천0 조회수 6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연정계회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연정계회도 한자명칭 蓮亭?會圖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16세기경> 재질 지(紙) / 비단에 엷은 채색 용도 문화예술(文化藝術)-서화(書?) 크기 94.0x58.2cm(그림)-총 2점 지정구분 보물(寶物) 871 호 소장품번호 신수(新收)-002235-000 공유하기 모임이 열리고 있는 정자 앞에 연못이 있으므로 <연정계회도>라고 부른다. 이 계회도는 제목을 적은 윗단과 참석자들의 이름과 관직 등을 적은 아랫단의 목록이 잘려나간 상태이다. 화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관례로 보아 나라에서 운영하는 회화 전문기관인 도화서(圖?署)에 소속되어 있던 화가 중 한 명이 그린 것으로 여겨진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호조낭관계회도(戶曹郎官?會圖)>가 1542년경에 그려진 것을 고려하면‚ 그보다 좀더 숙달된 솜씨를 보여 주는 이 그림은 1550년대에 그려졌을 가능성이 높다. 16세기 전반까지의 계회도에서는 산수장면이 주되게 표현되었던 것과는 달리 여기서는 산수와 계회장면이 거의 대등하게 구성되었으며‚ 연못주위의 부드러운 버드나무 묘사법 등 이전까지의 계회도에서 보였던 전형적인 안견화법에서는 벗어나 새로운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이 계회도는 16세기 중엽 계회도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어 중요하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연정계회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