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청구관해방총도

추천0 조회수 65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구관해방총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청구관해방총도 이명칭 Cheonggugwan haebang chongdo 한자명칭 靑丘關涇防總圖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1776-1787년> 재질 지(紙) / ? 용도 과학기술(科學技術)-지리(地理) 크기 86.3×285.0cm 지정구분 보물(寶物) 1582 호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11651-000 공유하기 한반도를 눕혀 그린 군사지도로 전체적인 지도의 크기는 <동국대전도(東國?全圖)> 에 가까울 만큼 큰 편이다. 이와 같이 조선시대에는 동쪽을 지도의 위쪽에 배치한 지도도 일부 만들었다. 이는 북쪽을 지도의 위쪽으로 배치하는 현대의 지도와 다르며 상대적으로 시점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예이다. 남쪽에는 일본의 모습이 간략하게 그려져 있고 지도의 여백에는 국경지역에 관련된 중요한 사항을 붉은 글씨로 적어 놓았다. 전체적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동국대전도(東國?全圖)>와 분위기가 비슷하다. 산지는 산줄기를 강조하여 이어진 모양으로 표현되었으며‚ 백두대간의 모습이 뚜렷하다. 또한 압록강‚ 두만강 이북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도 비슷하다. 특히 의주에서 산해관에 이르는 도로를 표시하였으며‚ 몽고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세운 울타리가 그려져 있다. 울타리의 문이 자세하게 그려져 있는데 이는 국경지역에 대한 군사적 관심을 표현한 것이다. 조선 부분에서는 군사 기지인 진보(鎭堡)와 성곽이 잘 그려져 있다. 붉은 선으로 교통망을 그렸고‚ 해안에는 방어 시설과 관련된 초(哨: 백 명을 단위로 하는 군대의 편제)와 당(塘)이 표시되어 있다. 봉수는 횃불모양으로‚ 요충지는 깃발모양으로 표현하였다. 당시 섬이었던 안면도는 여전히 곶으로 그려지는 등 이전 시기 지도에서 보이는 불완전함도 엿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청구관해방총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