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청자 사자 장식 뚜껑 향로

추천0 조회수 16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 사자 장식 뚜껑 향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청자 사자 장식 뚜껑 향로 이명칭 청자사자개향로 한자명칭 靑磁?子蓋香爐 국적/시대 한국(韓國)-고려(高麗) <12세기> 재질 도자기(陶磁器)-청자(靑磁) 용도 사회생활(社會生?)-의례생활(儀禮生?) 크기 높이 21.2cm‚ 입지름 11.1cm 지정구분 국보(國寶) 60 호 소장품번호 개성(開城)-000001-000 공유하기 향로는 화로에서 피운 향이 뚜껑의 구멍을 통해 사자의 입으로 빠져나가도록 만들어졌다. 뚜껑에 장식된 사자가 중앙에서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은 사자를 조각한 후 뚜껑에 붙일 때 유약을 사용하면서 미끄러진 것으로 보인다. 향로 형태는 뚜껑의 경우 윗면에 한 단을 더 조성하여 그 위에 사자를 올렸으며‚ 단이 형성된 가장자리에는 여의두문을‚ 측면에는 초화문을 음각하였고 규석을 받쳐 구웠다. 화로의 몸체 여백에는 넓게 퍼진 구름문을 가득 음각하였다. 전에도 음각한 구름문을 일정한 간격으로 5곳에 배치하여 장식하였다. 뒷다리를 구부려 웅크리고 앉아있는 모습‚ 크고 동그랗게 뜬 눈에 철화 안료로 표현된 눈동자‚ 낮게 숙이고 있는 귀‚ 등에 올려붙인 꼬리 등은 매우 친근감 있는 모습으로 다가온다. 이와 같은 상형 청자는 고려청자의 전성기였던 12세기에 제작되어 두드러진 특색을 이루는데‚ 고려청자 특유의 아름다운 비색과 더불어 세련된 조형으로서 당시 고려 공예의 높은 솜씨를 엿보게 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 사자 장식 뚜껑 향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