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천흥사」가 새겨진 천흥사 동종

추천0 조회수 8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천흥사」가 새겨진 천흥사 동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천흥사」가 새겨진 천흥사 동종 이명칭 「천흥사」명천흥사동종 한자명칭 「?興寺」銘銅鍾 국적/시대 한국(韓國)-고려(高麗) <1010년> 출토지 경기도(京畿道)-광주군(廣州郡) 재질 금속(金屬)-금동제(金銅製) 명문내용 ○○聖居山?興寺鍾銘統和二十八年庚戌二月日 문양 인물문(人物文)-비천문(飛?文) ‚ 식물문(植物文)-연판문(蓮瓣文) 용도 종교신앙(宗敎信仰)-불교(佛敎) 크기 높이 174.2cm 지정구분 국보(國寶) 280 호 소장품번호 덕수(德壽)-002445-000 전시위치 금속공예 공유하기 고려시대의 동종을 대표할 수 있는 우수한 작품으로‚ 신라 동종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양식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용뉴는 종을 매달기 위해 종의 맨 위에 만든 고리이고‚ 그 옆의 음통은 음향효과를 위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 동종의 용뉴를 닮았으나 용두가 여의주를 물고 고개를 들어올리고 있는 모양은 고려시대에 새로 나타난 형식이다. 음통 표면 역시 신라 종처럼 5단으로 나누어 꽃무늬 장식을 하였다. 종 윗단과 아랫단에는 연속된 구슬무늬띠[連?文帶]를 두르고 그 안에 보상당초무늬[寶相唐草文]를 장식하였다. 종의 몸체에는 두 개의 당좌(撞座)와 비천상(飛?像)을 번갈아 배치하였다. 이렇게 당좌와 비천을 장식하고‚ 몸체에 넓은 공간을 남기는 것은 신라 이후의 특징이다.종의 몸체에 위패(位牌)모양을 만들어 새겨진 글귀를 통해 1010년(현종 원년)에 주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천흥사」가 새겨진 천흥사 동종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