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최익현 초상

추천0 조회수 94 다운로드 수 5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최익현 초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최익현 초상 한자명칭 崔益鉉肖像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1905년> 재질 사직(絲織)-견(絹) / 비단에 채색 작가 채용신(蔡龍臣‚ 1848-1941) 용도 문화예술(文化藝術)-서화(書?) 크기 82.2x55.0cm(전체)‚ 51.5x41.5cm(그림) 지정구분 보물(寶物) 1510 호 소장품번호 신수(新收)-001452-000 공유하기 오른쪽 상부에 ‘면암최선생 칠십사세상 모관본(勉菴崔先生 七十四歲像 毛冠本)’‚ ‘을사맹춘상한 정산군수시 채석지도사(乙巳孟春上澣 定山郡守時 蔡石芝圖寫)’라고 써 있다. 1905년에 채용신이 그린 최익현의 74세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익현은 머리에 겨울철에 사냥꾼이 주로 사용하는 쓰개인 가죽 감태를 쓰고 심의를 착용한 모습을 하고 있다. 약간 오른쪽을 향하고 있는 정면 반신상이다. 얼굴은 갈색선을 수없이 그어 요철과 명암을 묘사하고 있는데 얼굴의 고저(高低)에 따라 밝기를 구분하여 입체감을 표현하고 있다. 그 위에 갈색 선으로 대담하게 주름을 그었다. 가죽 감태의 하얀 털 표현도 거친 질감을 전해준다. 얼굴과 의복 등 전체적으로 섬세하기 보다는 건조하고 야성적인 분위기를 준다. 옷 주름의 접힌 부분은 남기고 흰색을 전채(前彩)하였다. 인물의 배경에는 담묵을 칠하여 공간감을 형성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최익현 초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