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정지원」이 새겨진 석가불삼존입상

추천0 조회수 14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지원」이 새겨진 석가불삼존입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정지원」이 새겨진 석가불삼존입상 이명칭 「정지원」명금동석가여래삼존입상 한자명칭 「鄭智遠」銘金銅釋迦?來三尊立像 국적/시대 한국(韓國)-백제(百濟) <6세기> 출토지 충청남도(忠?南道)-부여군(扶餘郡) 재질 금속(金屬)-금동제(金銅製) 용도 종교신앙(宗敎信仰)-불교(佛敎) 크기 높이 8.5cm 지정구분 보물(寶物) 196 호 소장품번호 M번(M番)-000335-002 공유하기 부여 부소산 송월대 부근에서 발견된 불상으로 삼국시대에 유행했던 일광삼존상(一光三尊像)의 형태이다. 중앙의 본존불(本尊佛) 좌우로 협시보살(挾侍菩薩)이 배치되어 있는데‚ 왼쪽 협시보살은 몸체가 없고 얼굴만 남아 있다. 오른쪽 협시보살의 길게 날리는 천의(?衣)자락은 광배(光背)의 바깥부분을 이루고 있다. 본존불의 머리 위로는 합장하고 있는 화불(化佛)이 배치되어 있다. 대좌에는 연화문이 선각(線刻)으로 새겨져 있다. 불꽃무늬가 큼직하게 새겨져 있는 광배는 배 모양의 형태를 하고 있다. 광배의 뒷면에 “정지원위망처 조사경조금상 조리삼도(鄭智遠爲亡始 趙?敬造金像 早離三塗)”와 같은 삼행의 명문이 새겨져 있어 ‘정지원명 불상’이라고도 부른다. 즉‚ ‘정지원’이란 사람이 죽은 그의 아내가 극락세계에 가기를 기원하기 위해서 만든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불상에는 중국 북조(北朝) 양식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정지원」이 새겨진 석가불삼존입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