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부여 군수리 절터 금동보살입상

추천0 조회수 213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부여 군수리 절터 금동보살입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부여 군수리 절터 금동보살입상 한자명칭 軍守里金銅彌勒菩薩立像 국적/시대 한국(韓國)-백제(百濟) <6세기> 출토지 충청남도(忠?南道)-부여군(扶餘郡) 부여읍(扶餘邑)-군수리 절터(軍守里) 재질 금속(金屬)-금동제(金銅製) 용도 종교신앙(宗敎信仰)-불교(佛敎) 크기 높이 11.2㎝ 지정구분 보물(寶物) 330 호 소장품번호 M번(M番)-000342-000 공유하기 군수리석조여래좌상과 함께 부여 군수리절터 목탑터의 심초석 아래에서 출토되었다. 불상은 반원형의 복련(覆蓮) 대좌 위에 서 있으며‚ 머리 뒷면에는 광배(光背) 연결부의 흔적이 남아있다. 머리에 보관(寶冠)을 쓰고 있으나 파손되어 원래의 형태는 알 수 없다. 둥근 얼굴‚ 내려 뜬 눈‚ 살짝 치켜 올려진 입가에 퍼지는 잔잔한 미소는 자비로운 인상을 준다. 천의(?衣)는 신체의 중앙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었는데‚ U자형의 주름이 중첩 표현되었다. 수인은 여원인(與願印)을 취하고 있다. 불상 좌우로 날리는 천의 자락은 북위(北魏)의 영향을 받았으나 북위의 것에 비해 훨씬 누그러졌으며 백제화된 모습을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부여 군수리 절터 금동보살입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