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추천0 조회수 12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이명칭 원주흥법사진공대사탑부석관 한자명칭 原州興法寺眞空?師塔附石棺 국적/시대 한국(韓國)-고려(高麗) 재질 석(石) 용도 종교신앙(宗敎信仰)-불교(佛敎) 지정구분 보물(寶物) 365 호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01980-000 전시위치 0 공유하기 이 탑과 석관은 신라 말기로부터 고려 초기까지 활동한 고승 진공대사의 묘탑과 석관으로 1931년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 절터에서 옮겨왔다. 진공대사는 중국 당나라에서 유학하고 신라 효공왕(재위 897~912) 때에 귀국하여 왕사(?師)가 되었다. 고려가 건국된 이후에도 태조의 왕사가 되었다가 940년(태조 23)에 입적하였는데 태조가 친히 비문을 지을 정도로 대사는 생전에 태조로부터 극진한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이 탑은 팔각 집 모양을 기본 평면으로 하였으나 기단 중간부는 원통형으로 하여 구름과 용무늬를 새겼고. 아담한 탑신 위에는 곡선이 강한 지붕을 얹고 보개로 장식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 탑은 고려 태조의 왕명으로 지어진 것으로서 고려시대 초기 승탑 중 우수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