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

추천0 조회수 317 다운로드 수 5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 한자명칭 開城敬?寺址十層石塔 국적/시대 한국(韓國)-고려(高麗) <1348년> 출토지 출토지()-경기도(京畿道) 개풍군(開?郡) 풍덕면(?德面) 광수리(光水里) 부소산(扶蘇山) 경천사지(敬?寺址) 재질 석(石) ‚ 석(石)-대리석(?理石) 용도 종교신앙(宗敎信仰)-불교(佛敎) 크기 높이 1‚350.0cm 지정구분 국보(國寶) 86 호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06753-000 공유하기 고려시대에는 신라시대의 석탑 양식을 이어 평면 사각형의 석탑 또는 새로운 양식으로 다각(太角)석탑이 나타나는데‚ 이런 것과 달리 특수한 형태를 보이는 것이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이다. 이 탑은 원래 경기도 개풍군 경천사지(敬?寺址)에 남아 있었는데 일본에 불법 반출되었다가‚ 서울 경복궁에 복원되었다. 부재(部材) 전체가 회색 대리석으로 되어 있는데 기단부(基壇部) 위에 탑신부(塔身部)와 상륜부(相輪部)를 건조하였다. 평면과 부재의 구조 등에서 각기 특수한 양식을 보여주고 전체의 균형이 아름다워 주목되는 탑이다. 기단 평면은 아자형(亞字形)으로 3단을 이루었으며‚ 탑신부는 1‚ 2‚ 3층이 기단과 같은 평면이나‚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4층부터는 탑신이 사각형을 이루었는데 층마다 옥신(屋身) 밑에는 난간을 돌리고 옥개(屋蓋) 밑에는 다포집 양식의 두공(枓?) 형태를 조각하였다. 윗면에는 팔작지붕 형태의 모양과 기왓골이 표현되어 있다. 기단과 탑신에는 불‚ 보살‚ 인물‚ 용‚ 천부(?部) 등이 빈틈없이 조각되어 장식이 풍부하고 조각수법이 정교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석탑이 조선시대 초기에 다시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유례가 없는 희귀한 작품이다. 제1층 옥신 이맛돌에는 조탑명(造塔銘)이 새겨져 있는데 '지정 8년'(至正八年)이라는 기록이 있어 탑의 건립 연대가 고려 충목왕 4년인 1348년임을 알 수 있다. 당시의 정치적 환경으로 보아 중국탑의 새로운 영향이 영향이 탑에 많이 반영되었다고 생각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