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추천0 조회수 16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한자명칭 漆谷 ?兜寺址 五層石塔 국적/시대 한국(韓國)-고려(高麗) 출토지 경상북도(慶尙北道)-칠곡군(漆谷郡) 약목면(若木面) 복성리(福星里) 정도사(?兜寺) 재질 석(石) 용도 종교신앙(宗敎信仰)-불교(佛敎) 지정구분 보물(寶物) 357 호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12807-000 공유하기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身)이 올라간 형태이다. 현재 5층 지붕돌은 없어지고‚ 상륜부의 장식 받침인 노반(露盤)이 남아 있다. 1층 기단에는 코끼리 눈을 본 떠 만든 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2층 기단부터 탑신까지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1층 몸돌에는 문짝과 자물쇠 모양이 조각되었는데‚ 깨끗하면서도 아름다운 느낌을 준다. 지붕돌은 4단 받침에 추녀 밑으로 낙수홈이 있다. 탑 이름이 기단에 해서체(楷書體)로 새겨져 있으며‚ ‘태평십일년(?平十日年)’이라는 글자가 함께 보인다. 태평은 중국 요(遼)나라 연호로‚ 1031년(고려 현종 22)에 해당하며‚ 이 탑이 이 때 세워졌음을 알려주고 있다. 이 탑의 해체 복원 시 발견된 ‘조성형지기(造成形止記)’에 따르면‚ 당시 승려 지한의 주도하에 이 지역 향리와 백성들이 국가의 평안‚ 전쟁의 종식‚ 풍년을 발원하며 세운 탑이라 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