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석봉 한호가 쓴 두보시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봉 한호가 쓴 두보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석봉 한호가 쓴 두보시 이명칭 석봉한호필두보시 한자명칭 石峯 韓濩 筆 杜甫詩(『韓景?眞蹟』中)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재질 지(紙) 작가 한호(韓濩‚ 1543-1605) 용도 문화예술(文化藝術)-서화(書?) 크기 26.2x16.5cm 지정구분 보물(寶物) 1078-2 호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02203-000 전시위치 조선2실 공유하기 이 글씨는 석봉 한호韓濩(1543~1605)의 서첩 『한경홍 진적韓景?眞蹟』에 수록된 작품이다. 서첩에는 그가 평소 좋아했던 시와 구절을 담았는데‚ 두보杜甫의 시를 비롯해‚ 친구인 조선 중기 시인 최립(崔?‚ 1539-1612)의 시 등이 담겼다. 이 글씨는 한호가 두보杜甫(712~770)의 시 '양전중이 장욱의 초서를 보여주다(楊殿中示張旭草書)'를 초서로 쓴 작품이다.  조선시대 중기의 명필 한호는 왕희지(?羲之)의 서법書法을 바탕으로 석봉체(石峯體)라는 자신의 글씨풍을 이루었고‚ 석봉체는 조선 서예에 많은 영향을끼쳤다. 이 작품에서도 단아하면서도 강하고 변화가 큰 필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 서첩은 각 작품마다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 등을 고루 볼 수 있고‚ 한호의 작은 글씨에 대한 면모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석봉 한호가 쓴 두보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