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보광사대보광선사비

추천0 조회수 5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보광사대보광선사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보광사대보광선사비 한자명칭 普光寺 ?普光禪師碑 국적/시대 한국(韓國)-고려(高麗) <1358년> 출토지 충청남도(忠?南道)-부여군(扶餘郡) 임천면(林川面) 가신리(加神里) 보광사지(普光寺址) 재질 석(石) 용도 사회생활(社會生?)-기념(記念) 크기 높이 214.0cm‚ 너비 113.5cm‚ 두께 21.5cm 지정구분 보물(寶物) 107 호 소장품번호 부여(扶餘)-001628-000 공유하기 고려시대에 보광사를 크게 일으킨 원명국사의 공적을 새긴 비이다. 충남 부여군 성주산의 보광사터에 있던 것을 1963년 박물관으로 옮겼으며 비몸돌만 남아 있다. 비문의 앞면은 건립 당시인 고려 공민왕 7년(1358)에‚ 뒷면은 조선 영조 26년(1750)에 새겼다. 비문에 의하면 원명국사는 19세에 등과하여 선원사에서 뜻을 펴오다가 공민왕 원년(1351)에 입적하였다고 한다. 죽으면서 제자들에게 비나 탑을 세우지 않도록 당부하여 6년이 지나서야 비가 세워졌다. 이 비는 「보광사중창비」라고도 하며‚ 고려 후기의 간략화 된 석비 양식과 불교사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보광사대보광선사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