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공주 반죽동 석조

추천0 조회수 25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공주 반죽동 석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공주 반죽동 석조 한자명칭 公州?竹?石槽 국적/시대 한국(韓國)-백제(百濟) <6세기> 출토지 충청남도(忠?南道)-공주시(公州市) 반죽동(?竹?) 대통사지(?通寺址) 재질 석(石) 문양 식물문(植物文)-연화문(蓮花文) 용도 주(住)-생활용품(生?用品) 크기 높이 78.0cm‚ 지름 188.0cm 지정구분 보물(寶物) 149 호 소장품번호 공주(公州)-000313-000 공유하기 공주 중동 석조(보물 제148호)와 같이 대통사터에 있었던 백제의 유물로‚ 절에서 주로 연꽃을 담아 장식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공주 중동 석조와는 규모만 다를 뿐 양식이나 조각수법이 거의 같아서‚ 두 석조는 어느 한 건물 앞에 한 쌍으로 두려고 동시에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석조는 굽이 높은 사발을 확대한 모양으로 네모난 바닥돌 이외에는 거의 동그란 구조이다. 바닥돌 위에 원기둥으로 된 받침기둥을 세우고‚ 그 위로 둥글고 큰 석조를 얹었는데‚ 석조는 화강암의 안을 파내어 만든 것이다. 받침 기둥에는 전형적인 백제 수법으로 12개의 잎을 가진 연꽃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겨 두었는데‚ 이 무늬는 공주지방에서 나온 기와무늬와도 같은 모양이다. 그 위로 놓여있는 석조는 입구 가장자리에 굽처럼 넓적한 띠를 돌리고‚ 중앙에는 2줄의 띠를 돌렸으며 띠에는 8개의 연꽃잎을 가진 꽃송이를 사방에 도드라지게 새겨 장식하였다. 통일신라시대의 직사각형 석조와는 달리 연꽃잎을 장식한 받침기둥 위에 놓인 이 석조는 바깥 면에도 풍만한 연잎과 단아한 띠를 돌려 귀족적인 느낌을 준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공주 반죽동 석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