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함 이명칭 골함동외함 한자명칭 函 국적/시대 한국(韓國)-고려(高麗) <12세기 초반> 출토지 출토지()-경기도(京畿道) 청교면(靑郊面) 장릉(長陵) 재질 금속(金屬)-동합금제(銅合金製) ‚ 석(石) 크기 내함-높이 8.8cm‚ 너비 31.0cm‚ 외함-높이18.0cm‚ 너비 41.8cm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04253-000 공유하기 전(傳) 고려 인종(재위 1122-1146) 장릉에서 출토된 함이다. 능화형(菱花形) 금속제 내함과 마름모형 외함이 한 조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외함의 재질은 비교적 조각이 쉬운 사질(沙質) 이암(泥岩)이며‚ 제작 수법은 몸체와 뚜껑을 성형한 다음‚ 표면에 생긴 거친 조각 자국을 정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뚜껑 표면에서 분장토(粉粧土)와 진사(辰砂) 등의 안료 성분이 확인되고 있어‚ 석제 함의 표면을 분장토로 말끔히 정리하고 분장된 표면에 각종 안료로 무늬를 장식하였던 것 같다. 능화형 내함은 4개의 다리가 있는 받침과 몸체 그리고 뚜껑으로 구성되었으며‚ 분리와 조립이 쉬운 구조다. 재질은 청동제이며‚ 바깥면에는 주석으로 도금하여 은백색을 띠고 있다. 이같은 구조를 가진 내외함은 그 용도는 알 수 없지만‚ 통일신라 유적에서 발견된 뼈항아리를 넣어둔 석제 외함의 사례와도 비교될 수 있다. 고려시대 왕실 묘제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라고 하겠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