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추사 김정희가 쓴 묵소거사 자찬

추천0 조회수 14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추사 김정희가 쓴 묵소거사 자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추사 김정희가 쓴 묵소거사 자찬 이명칭 추사김정희필묵소거사자찬 한자명칭 秋史金正喜筆默笑居士自讚 국적/시대 한국(韓國)-조선(朝鮮) 재질 지(紙) / 붉은 종이에 먹 작가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용도 문화예술(文化藝術)-서화(書?) 크기 32.7x136.4cm 지정구분 보물(寶物) 1685-1 호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05112-000 공유하기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묵소거사(默笑居士)'에 맞춰 지은 상징적인 어구로‚ '침묵을 지켜야 할 때는 그 때에 맞게‚ 또한 웃어야 할 때는 웃어야 할 때에 맞게' 라는 구절을 시작으로 삶의 깨달음을 풀어놓은 듯한 내용으로 전개하였다. 한편 작품을 감싼 장황 주변에 찍힌 엽전 모양의 둥근 인장들은 그의 친한 친구였던 김유근(金?根‚ 1785-1840)의 것으로‚ 이 <묵소거사자찬>이 김유근과 관계 있음을 보여준다. 정중하게 정성을 담아 쓴 듯한 이 글씨는 글씨형이 세장(細長)하며‚ 날카롭고 변화가 큰 필획을 구사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추사 김정희가 쓴 묵소거사 자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