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부뚜막

추천0 조회수 22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부뚜막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부뚜막 이명칭 쇠화덕 한자명칭 鐵製爐 국적/시대 한국(韓國)-고구려(高句麗) 출토지 평안북도(平安北道) 운산군(雲山郡) 동신면(東新面) 용호동(帝坪?) 1호분(號墳) 재질 금속(金屬)-철제(鐵製) / ?制 용도 사회생활(社會生?)-의례생활(儀禮生?) 크기 높이 29.1cm‚ 길이 67.2cm‚ 너비 23.0cm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05244-000 전시위치 고구려실 공유하기 평안북도 운산군 동신면 용호동 1호 무덤은 고구려 돌방무덤의 하나로‚ 1918년 세키노 다다시(關野貞)에 의해 조사되었다. 조사 당시 무덤은 중앙부가 무너져 내려앉은 상태였다. 부뚜막은 무덤의 널방(?室)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봉황모양꾸미개(金銅鳳凰形裝飾)‚ 토기 등과 함께 출토되었다.이 부뚜막은 주조(鑄造)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전체적인 형태가 안악3호분 부엌그림에 보이는 부뚜막을 축소해 놓은 듯한 모습이다. 아궁이와 굴뚝이 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한쪽 옆에 달린 특이한 형태로‚ 같은 형태의 토제(土製) 아궁이가 퉁거우(通溝)에서 출토된 적이 있다. 이 부뚜막을 실제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하기도 하지만‚ 죽은 이가 사후세계에서 사용할 명기(明器)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부뚜막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