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금동신발

추천0 조회수 15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금동신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관람후기(0) 금동신발 이명칭 금동식리 한자명칭 金銅飾履 국적/시대 한국(韓國)-백제(百濟) 출토지 전라남도(全羅南道)-나주시(羅州市) 반남면(潘南面) 신촌리(新村里) 9호분(號墳) 을관(乙棺) 재질 금속(金屬)-금동제(金銅製) 용도 의(衣)-신발(신발) 크기 길이 29.7㎝ 소장품번호 본관(本館)-005859-000 공유하기 이 금동신발은 1917년 발굴조사된 전남 나주 신촌리 9호분 을관에서 출토되었다. 신촌리 9호분은 영산강유역 최대의 방대형 고분으로 분구 안에는 12기의 옹관이 매장되어 있는데‚ 이 중 을관이 가장 대형이다. 옹관 내부에서는 금동신발 외에도 금동관 · 은팔찌 · 각종 구슬 등의 장신구‚ 환두대도 등의 각종 무기류‚ 쇠톱 · 도끼 등의 농공구류가 출토되었다. 금동신발은 바닥판 1매와 옆판 2매를 결합하여 만들었다. 옆판은 발등과 발뒤꿈치에서 겹쳐 고정하고‚ 옆판의 아랫부분을 접어 바닥판과 결합시킨 후 못을 박아 고정시켰다. 바닥을 포함한 바깥 면 전체에는 2줄로 타출(打出)시킨 능형문(菱形文)이 장식되어 있으며‚ 능형문의 중앙부와 교차점에는 원점문이 타출되어 있다. 바닥의 능형문 중심에는 네 잎의 꽃잎을 타출시켜 장식하였으며‚ 앞·뒤쪽에는 스파이크처럼 단면 방형의 못을 박았던 못 구멍이 9개 뚫려 있다. 앞부분에는 길이 1.5cm 크기의 못이 박힌 채 남아 있다. 신발의 앞부분이 들려있고 옆판을 좌·우 2매의 판으로 결합하는 형태는 백제 신발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공주 무령왕릉‚ 익산 입점리 고분 출토 금동신발에서도 공통적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금동신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