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립광주박물관] ‘여름! 박물관 이야기’프로그램을 개설

추천0 조회수 17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립광주박물관] ‘여름! 박물관 이야기’프로그램을 개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7-27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자‚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국립광주박물관] ‘여름! 박물관 이야기’프로그램을 개설 등록일2015-07-27 조회수563 담당자 학예연구실 최효주 (bENxFQUDbFhzBgAC) 여름! 박물관 이야기 - 가죽 같은 종이‚ 줌치한지 -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조현종)은 여름방학 기간에 건전한 여가 활성화 및 박물관 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2015년 ‘여름! 박물관 이야기’프로그램을 개설한다.    2015년 ‘여름! 박물관 이야기 -가죽 같은 종이‚ 줌치한지-’는 우리의 전통 한지와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우리 전통문화에서 집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알아보는 계기를 주고자 마련한 체험교육 중심의 문화 프로그램인 것이다. 기간은 2015년 7월 29일(수)‚ 8월 6일(목)부터 8월 27일(목)까지 매주 목요일에 이루어지며‚ 장소는 국립광주박물관 체험학습실에서 진행된다.    보통 조선종이라고도 하는 한지는 닥나무[楮]나 삼지닥나무[三枝楮] 껍질을 원료로 하여 뜬다. 이들 나무를 다발로 묶어 물을 부은 가마솥에 세우고 가마니로 둘러싼 뒤 불을 때어 껍질이 흐물흐물 벗겨질 정도로 삶은 다음 껍질을 벗겨 말린다. 말린 껍질을 다시 물에 불려 발로 밟은 다음 하얀 내피(內皮) 부분만 가려내고‚ 이것에 양잿물을 섞어 3시간 이상 삶아 압축기로 물을 짜낸다. 여기에 닥풀뿌리를 으깨어 짜낸 끈적끈적한 물을 넣고 잘 혼합하여 고루 풀리게 한 다음‚ 발[簾]로 종이물[紙?]을 걸러서 뜬다. 한지는 용도에 따라 그 질과 호칭이 다르다. 예를 들면‚ 문에 바르면 창호지‚ 족보·불경·고서의 영인(影印)에 쓰이면 복사지‚ 사군자나 화조(花鳥)를 치면 화선지(畵宣紙)‚ 연하장·청첩장 등으로 쓰이는 솜털이 일고 이끼가 박힌 것은 태지(苔紙)라고 한다.    국립광주박물관은 이번 교육을 통해 우리 전통 한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고 가죽 같은 종이‚ 줌치한지를 주제로 하여 우리 전통 문양을 활용하여 나만의 줌치한지를 만들어 보면서 우리의 전통문화를 보다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교육의 장이 되기를 희망한다.   □ 세부일정 ○ 기 간: 2015. 7. 29(수)‚8. 6(목) ~ 8. 27(목) 매주 목요일 / 총5회 ○ 시 간: 15:00~17:00 (도입 +이론학습 +체험학습 +마무리‚ 매회 2시간) ○ 대 상: 어린이 포함 가족 / 매회 40명(15가족 내외) / 약200명 ○ 장 소: 국립광주박물관 교육관 ○ 참 가 비: 무료 ○ 참가신청: - 박물관 홈페이지(http://gwangju.museum.go.kr) 신청 (2주 전 홈페이지 공고 후 교육신청 배너로 선착순 접수) - 방문접수(홈페이지 공고 기간 내 선착순) ○ 참가문의: 국립광주박물관 홈페이지 / 062)570-7053‚ 7068 ○ 사업내용: 가죽 같은 종이‚ 줌치한지   프로그램 가죽 같은 종이‚ 줌치한지 교육일시 2015. 7. 29(수)‚ 8. 6 ~ 8. 27 매주 목 / 15:00~17:00 / 총5회 중 1회 신청 학습목표 ?한지와 우리 문화에서 활용되는 한지의 쓰임에 대해 알 수 있다. ?전통 한지 기법 중 줌치한지 제작 기법을 익힐 수 있다. ?우리 문화에 나타나는 전통문양에 대해 탐색할 수 있다. ?창작된 작품을 지속적으로 활용하며 기쁨을 얻고‚ 한지의 문화적 의미를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다. 이론학습 체험학습 ?한지 이야기 ?한지의 쓰임 ?현대의 한지문화상품 ?줌치한지 만들기 - 한지의 느낌과 특징 - 전통문양 탐색 - 나만의 문양 구상 - 색 한지 문양 만들기 - 문양이 들어 있는 줌치한지 제작 ?창작한 줌치한지는 가리개나 러그 등 생활소품으로 활용 줌치한지 가리개 참고 □관련사진         여름! 박물관 이야기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국립광주박물관] ‘여름! 박물관 이야기’프로그램을 개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