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립광주박물관 “신창동유적의 제사와 의례” 국제학술심포지엄 개최

추천0 조회수 14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립광주박물관 “신창동유적의 제사와 의례” 국제학술심포지엄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2-16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자‚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국립광주박물관 “신창동유적의 제사와 의례” 국제학술심포지엄 개최 등록일2014-12-16 조회수987 담당자 기획운영과 류효진 (bENxFQUDbFhzBgcB) 국립광주박물관 “신창동유적의 제사와 의례” 국제학술심포지엄 개최 우리나라 최대 농경복합유적인 신창동유적을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의 벼농사와 관련된 “도작농경사회의 제사와 의례문화”를 집중 비교분석하는 자리될 것   ㅇ 일 시 : 2014. 12. 19 (금) 09:30 ~ 18:00 ㅇ 장 소 : 국립광주박물관 교육관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조현종)은“광주 신창동유적의 제사와 의례”라는 주제로 한국 ? 중국 ? 일본의 연구자를 초청‚ 우리나라 최대의 농경복합유적인 신창동유적(사적 제375호)의 중요성을 집중조명하고 동북아시아 지역과의 비교분석을 위한 국제학술심포지엄을 12월19일(금)에 개최한다.   국립광주박물관은 그동안 신창동유적의 국제화를 진작시키기 위해 3차례의 국제학술심포지엄(Ⅰ. 도작문화稻作文化‚ Ⅱ. 목기와 칠기木器와 漆器‚ Ⅲ. 직물문화織物文化)을 개최한 바 있다.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유적에서 출토된 새모양목제품‚ 악기‚ 바람개비문양칠기‚ 상형토기와 각종 미니어처 등을 통하여 “도작농경사회의 제사와 의례 문화”를 주제로 국제적인 전문가를 초청하여 발표와 토론회를 개최한다.   농경의례는 농작물의 풍요로운 수확을 기원하거나 수확에 대해 신에 감사를 드리는 의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선사시대의 실증적인 자료는 청동기시대의 “농경문청동기”가 대표적이다. 또한 『三國志』魏志東?傳 馬韓條 『삼국지』위지동이전 마한조; 「立?木 縣鈴鼓 事鬼神…」「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놓고 귀신을 섬긴다…」라는 기록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당시의 의례관련 내용이 구체적으로 전해지고 있다. 신창동유적에서 출토된 제의구(祭儀具)는 이러한 도작농경사회의 제사와 의례문화를 구체적으로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심포지엄은 3부로 구성되며 ‘광주 신창동유적의 도작농경의례-조현종(국립광주박물관)’ ‘한국 세시풍속의 전개와 농경의례-나경수(전남대학교)’ ‘중국의 고대 동고(?鼓)/도작농경의례-유산영(중국절강성박물관)’ ‘일본열도에서의 도작농경의례-구와바라히사오(천리대학문학부)’등의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된다. 토론과 유적사례발표에는 야마자키스미오(고고환경연구소)‚ 이영문(목포대학교 교수)‚ 이종철(전북대학교 학예연구관) 등이 참여한다.   붙임: 일정표 및 사진자료.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국립광주박물관 “신창동유적의 제사와 의례” 국제학술심포지엄 개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일정표.jpg(115.8KB) image001.jpg(95.5KB) image002.jpg(84.2KB)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