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중앙]제 31회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 문화재 그리기대회 수상자

추천0 조회수 228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앙]제 31회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 문화재 그리기대회 수상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6-06-0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자‚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중앙]제 31회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 문화재 그리기대회 수상자 등록일2006-06-02 조회수1391 담당자 우수연 (s8r+)   제 31회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 문화재 그리기대회 수상자 - 최우수상 김응주‚ 박소현‚ 이건호 외 120명 입상 -     지난 5월 8일 개최한 제 31회 국립중앙박물관의 문화재그리기 대회는 총 211학교 1‚000여명이 참가자를 낸 가운데 수상자 선정을 마쳤다.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부문에 걸쳐 총 120명이 입상했으며‚ 최우수상 수상자는 문화재 보고 그리기 저학년 부문에 김응주(강신초등학교 2학년)‚ 문화재 보고 그리기 고학년 부문에 박소현(청덕초등학교 5학년 )‚ 이야기 듣고 그리기 부문에 이건호(답십리초등학교 4학년)로 선정됐다.   시상식 일정은 특별전「북녘의 문화유산-평양에서 온 국보들」개막 관계로 인해 애초 계획했던 6월 12일에서 변경되어 6월 19일 오후 2시에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소강당에서 열린다. 또한 수상작품들은 오는 10월 중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앞 로비에서 전시될 예정이다.   이번 “어린이문화재 그리기대회”는 1974년부터 실시된 이래 전국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참가 범위를 확대하여‚ 예상을 뛰어 넘는 참가열기로 많은 어린이와 학부모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성황리에 개최됐다. 전시장 내에서만 진행되었던 대회를 야외전시장까지로 확대하였다. 올해는 기존의 ‘문화재 보고 그리기’영역에 추가적으로 ‘이야기 듣고 그리기’ 영역을 추가하여 실시하였다. ‘이야기 듣고 그리기’는 조선시대 궁중화원들의 시험제도였던 녹취재(祿取才)를 본 따‚ 어린이들에게 화제를 주고 그 화제에 대해 상상해서 그리는 새로운 내용의 그리기로서 어린이들이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꾸몄다. 또한 그리는 학생의 연령과 성격을 고려하여 ‘문화재 보고그리기 저?고학년’ 영역과 ‘이야기 듣고 그리기’ 영역으로 나누어 심사하여 우수작품을 선정하였다. 심사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심사위원진도 미술대학관련 교수‚ 예술가‚ 아동미술 전문가 등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 6명이 엄정한 심사를 진행하였다. 고고관‚ 미술관‚ 야외전시장에서 열린 ‘문화재 보고 그리기 영역’은 어린이들이 유물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표현했는가라는 부분과 묘사력‚ 표현력‚ 창의력‚ 색감 표현 이라는 기술적인 부분에 집중하여 심사를 진행하였다. 이야기 듣고 그리기 영역은 화제였던 “봄에 친구들과 박물관에 가다”라는 내용으로 박물관과 문화재‚ 역사이야기 등을 듣고 그린 그림으로 어린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잘 표현했는가 등에 초점을 맞추어 심사를 진행하였다.   심사위원들은 각각   “자유롭고 활달한 터치로 그려졌지만 화면을 만드는 조형적 감각‚ 원색과 무채색의 조화가 경이롭다고” 평하였다 (문화재 보고 그리기 저학년 부문 최우수상 강신초등학교 2학년 김응주).   또한 “크레파스를 사용해 부처상의 색감‚ 질감‚ 표정 등을 성실하게 표현하였으면서도 어린이가 지니고 있는 순수함과 소박함을 잘 드러낸 작품” 이라고 평했다 (문화재 보고 그리기 고학년 부문 최우수상 청덕초등학교 5학년 박소현)   “주제에 집중한 대범한 구성‚ 친구와 나눈 경험을 한눈에 전달한 표현력‚ 경쾌한 선묘와 부드러운 색조는 일반적인 출품작과 뚜렷하게 구분” (이야기 듣고 그리기 최우수상 답십리초등학교 4학년 이건호)하였다고 평하기도 했다.   심사위원단은 전체적으로 대회 출품작들에 대해 전년도에 비해 “자기 해석과 회화적인 감각이 뛰어났고‚ 저학년 학생들의 작품은 평면회화재료를 다양하게 이용한 주관적인 표현이 주를 이루었고‚ 고학년 학생들은 문화재의 고전미와 순수함을 발견하여 그 색감과 재질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려고 했다” 며 우리 문화재를 바라보는 학생들의 감각에 찬사를 보냈다.     << 수상자 명단 >>   최 우 수 상 접수번호 이름 학년 학교 1217 김응주             2 강신초등학교 1244 박소현 5 청덕초등학교 971 이건호 4 답십리초등학교     우 수 상 접수번호 이름 학년 학교 1141 김지현 1 의정부 부용초등학교 1373 김은빈 3 양재초등학교 328 윤성영 2 송중초등학교 460 성상현 3 삼육초등학교 612 황채현 2 성내초등학교 1379 차정민 2 양재초등학교 1378 이예린 2 양재초등학교 734 김동환 1 언북초등학교 722 오유정 5 의정부 신곡초등학교 1144 정해민 6 의정부 부용초등학교 417 고지수 5 이태원초등학교 40 송은희 6 성남 중탑초등학교 1023 박상훈 5 양화초등학교 465 설다솜 6 신영초등학교 131 김민아 5 면동초등학교 339 정재원  6  고양 성사초등학교 902 김지수 5 구산초등학교 870 최현규 2 이태원초등학교 861 오윤서 1 동자초등학교 889 한주희 1 용인대덕초등학교     장 려 상   접수번호 이름 학년 학교 598 곽영인 2 우이초등학교 743 오강욱 1 신계초등학교 408 정효민 2 용인 손곡초등 학교 462 김미강 3 삼육초등학교 498 채정범 1 인천 담방초등학교 206 이은아 2 금호초등학교 156 이준영 3 화성진안초등학교 327 김수인 2 송중초등학교 59 강보경 3 남양주 별내초등학교 58 정다해 3 남양주 별내초등학교 352 홍윤아 2 서빙고초등학교 1324 차서영 2 신가초등학교 15 강보근 2 개명초등학교 1152 박재우 1 영문초등학교 502 화은비 3 도림초등학교 451 최유경 2 태랑초등학교 1380 최유진 2 양재초등학교 344 이한울 2 서빙고초등학교 1032 이규민 1 방산초등학교 1125 최지윤 2 조원초등학교 546 서가영 3 남양주 심석초등학교 1030 이다연 1 방산초등학교 239 이세영 2 안양안일초등학교 717 설재인 2 의왕부곡초등학교 461 이송 3 삼육초등학교 758 이정환 2 성남불곡초등학교 1126 국정하 2 조원초등학교 1266 권정환 1 청덕초등학교 1181 김수진 3 갈산초등학교 1397 배시온 3 신강초등학교 1273 이재현 2 세검정초등학교 1331 유희빈 1 안산초등학교 447 이규린 1 태랑초등학교 155 이선영 1 진안초등학교 421 황혜성 1 월계초등학교 216 박세진 1 한천초등학교 229 박진우 3 용인 신릉초등학교 779 박정빈 1 홍릉초등학교 109 노현우 3 오산 운암초등학교 561 정민혁 3 난곡초등학교 1206 마예솔 6 부천 상일초등학교 1225 최설환 6 위례초등학교 1183 최수빈 6 동산초등학교 1343 최예지 4 고명초등학교 186 김효진 6 방현초등학교 739 김영하 6 성일초등학교 42 김보현 6 성남 중탑초등학교 331 주수빈 5 등촌초등학교 306 강연지 4 동자초등학교 1384 이지원 6 영화초등학교 278 최지원 6 구리 교문초등학교 1024 김혜미 6 양화초등학교 210 조수희 5 금호초등학교 380 하민영 6 서빙고초등학교 702 홍예지 5 흑석초등학교 1288 천예지 4 의정부 솔뫼초등학교 752 김혜림 4 상봉초등학교 333 문영경 6 등촌초등학교 1 신지원 4 서울신자학교 580 강예빈 5 이천 대월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