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공주] 국립공주박물관‚ 금강의 구석기문화 특별전 개최

추천0 조회수 195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공주] 국립공주박물관‚ 금강의 구석기문화 특별전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5-05-07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자‚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공주] 국립공주박물관‚ 금강의 구석기문화 특별전 개최 등록일2005-05-07 조회수957 담당자 정상기 () 국립공주박물관‚ 금강의 구석기문화 특별전 개최 국립공주박물관(관장 신창수)는 2005년 5월 10일부터 6월 26일까지(48일간) 금강의 구석기문화 특별전을 개최한다. 굽이치며 흐르는 물결이 마치 비단결과 같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금강(錦江)은 남한에서 한강과 낙동강 다음으로 세 번째 큰 강이다. 금강은 전라북도 장수군 신무산(神舞山)의 뜬봉샘에서 발원하여 진안 · 금산 · 옥천 · 신탄진을 거쳐 중류인 대전 · 공주 · 부여 · 강경을 지나 하류인 익산 · 서천 · 군산으로 흘러간다. 금강의 상류지역은 노령산맥과 차령산맥으로 둘러 싸여 가파른 산악지형 사이에서 곡류하며 깊은 강줄기를 이루고‚ 중류지역은 거의 직선으로 흐르는데‚ 주위에는 소규모의 충적평야가 형성되었다. 또한 하류지역은 강의 폭이 넓어지며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있어‚ 한반도의 주요 곡창지대를 이루어 옛날부터 우리 선조들의 풍요로운 삶의 터전이 되었다. 이러한 풍요로운 생활의 기반위에 우리 선조들은 구석기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중요 유적들을 남겼다. 사실상 한국 구석기유적의 발굴조사와 연구는 금강유역에서 비롯되었다 하여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유로는 남한 최초의 구석기유적이 1964년 공주 석장리에서 조사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금강의 상류지역에서는 진안 진그늘‚ 옥천 대천리‚ 청원 샘골 · 두루봉 · 소로리‚ 청주 봉명동‚ 진천 장관리‚ 대전 용호동유적 등이‚ 중류지역에서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구석기 유적인 공주 석장리를 비롯하여 대전 노은동 · 용산동 · 대정동 · 신대동 · 구즉동 · 둔산동 유적이‚ 하류지역에서는 군산 내흥동과 익산 신막유적이 조사되는 등 금강유역에서 상당수의 구석기 유적이 발굴조사 되었다. 또한 금강 유역은 남한 최초의 구석기유적이 발굴조사된 지역일 뿐 아니라 1976년 확인된 청원 두루봉 동굴유적의 조사로 한데유적과 동굴유적이 함께 조사된 지역으로서 한국 구석기문화의 발달 양상과 구석기인의 생활모습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진안 진그늘유적 등 금강유역 15개 유적에서 출토된 약750여점의 유물이 한자리에서 선보이게 된다. 전시는 금강유역 구석기인들의 삶과 문화를 조명하기 위하여 크게 금강의 상 · 중 · 하류지역의 구석기유적과 금강유역 출토 석기의 종류와 제작기술 발달이라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전시하였다. 금강의 각 유역별 전시는 강줄기를 따라 조사된 유적에 따른 전시로 금강 전체의 구석기문화를 종합하였다. 석기의 종류와 제작기술의 발달에서는 금강유역의 대표적인 유적인 공주 석장리 유적 출토유물을 전 · 중 · 후기의 시기별로 석기의 변화과정을 전시하였다. 전시되는 중요 석기로는 금강유역의 구석기문화를 대변하는 공주 석장리 주먹도끼 · 긁개 · 밀개 · 붙는 유물‚ 대전 노은동과 용호동의 좀돌날몸돌과 슴베찌르개‚ 진안 진그늘의 돌날 · 돌날몸돌 · 슴베찌르개 · 붙는 유물 등을 전시하였다. 또한 대전 용호동유적의 토층전사 패널 · 구들자리 모형과 함께 청원 두루봉유적 출토 사슴 · 쌍코뿔이 · 토끼등 각종 뼈를 전시하여 석기위주의 단순한 전시에서 탈피하여 구석기인들의 다양한 문화를 선보이게 된다. 이러한 구석기 유물들의 종합적인 전시를 통하여 국립공주박물관은 아직까지 정립되지 않은 금강유역 각 유적의 연대를 비롯하여‚ 금강유역에서 생활하였던 구석기인들의 다양한 문화를 고고학‚ 지질학‚ 고생물학 등 여러 분야의 공공연구를 통하여 재조명하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개막식 : 2005. 5. 9(15:00) ■ 기  간 : 2005. 5. 10 - 6. 26(매주 월요일은 휴관) ■ 장  소 : 국립공주박물관 기획전시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공주] 국립공주박물관‚ 금강의 구석기문화 특별전 개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