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수증

추천0 조회수 18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수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5-04-25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자‚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수증 등록일2005-04-25 조회수1278 담당자 윤종균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수증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은 4월 파평 윤씨 교리공 대종회‚ 천병옥‚ 석연숙‚ 김수원 씨로부터 4건 8점의 문화재를 수증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개관이후 221분으로부터 22‚151점의 유물을 기증받았다. 그 중 올해에는 8분으로부터 60점의 문화재를 기증받는 등 새 박물관 개관을 앞두고 기증문화가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파평 윤씨 교리공 대종회는 의정부시 신곡동에 있던 묘역을 1998년 연천군 노곡리로 옮기는 과정에서 출토된 문화재를 기증하였다. 기증문화재는 교리공‚ 효성공‚ 판관공 무덤에서 출토된 것이다. 교리공 윤돈(校理公 尹?)은 행적을 자세히 알 수 없으나‚ 태종 14년(1432)에 문과에 급제한 후 홍문관 교리를 지냈으며 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무덤에서는 조선통보 19점‚ 구슬 7점‚ 금동장식 1점‚ 얼레빗 1점 등이 출토되었다. 효성공 윤인경(孝成公 尹仁鏡‚ 1476-1548)은 시호처럼 효성으로 명망이 높았으며‚ 삼정승을 지낸 인물이다. 기증유물은 보주형 꼭지가 달린 뚜껑이 있는 16세기 전반기의 백자항아리로 주로 명기와 함께 출토되는 형식이다. 판관공 윤사신(判官公 尹?愼)은 윤인경의 손자로 행적을 알 수 없으나 부인 남원양씨의 묘지에 따르면 청주판관을 지낸 것으로 되어 있다. 남원양씨는 만력(萬曆) 13년(1585)에 58세의 나이로 생을 마쳐‚ 그 해 5월 22일에 양주목에 안장한 것으로 묘지에 기록되어 있다. 부부무덤은 회곽무덤으로 모두 5장의 묘지석을 포함하여 다양한 백자명기가 출토되었다. 백자명기는 남녀시종을 묘사한 인물형명기 6점을 포함하여 말모양명기 1점‚ 뚜껑항아리 9점‚ 잔받침과 접시 14점‚ 술병 2점‚ 손을 씻는 대야 4점(?盤 2‚ ?? 2)‚ 요강 2점‚ 밥그릇 3점‚ 침을 받는 타우 1점 등이다. 묘지석은 두 장이 한 세트를 이루며 모두 세 벌인 듯하나 한 장이 빠져 있다. 파평 윤씨 기증유물은 혈연관계를 알 수 있는 한 묘역에서 출토된 유물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 특히 윤사신부부무덤 출토유물은 묘지석이 함께 출토되어 매장시기와 무덤 주인공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전성기 백자 명기의 전형을 보여주는 일괄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또한 인물과 말모양 명기는 이 시기에 출토된 몇 안 되는 자료로 해학적 표정 또한 흥미로워 전시연구자료로도 의의가 크다. 천병옥씨는 지금까지 3차에 걸쳐 문화재를 기증하였는데‚ 이번에는 의걸이장과 절구공이 등 2건 2점의 문화재를 기증하였다. 이 의걸이장은 백동 장석으로 앞면을 가득 채운 경기도 지역의 장 형식을 따르고 있다. 의걸이장은 위와 아래 단이 분리되지 않으나 이 장은 분리되는 점이 특징적이다. 석연숙씨는 이층농과 찬장을 기증하였다. 이층농은 각 층이 분리되며 양 옆 면에 들쇠가 없고 이마받이가 설치된 장의 형식을 첨가한 변형된 형식의 농이다. 찬장은 기둥이 굵고 널판이 두꺼운 전형적인 찬장의 형태이지만‚ 일반적인 찬장과는 달리 상층과 하층이 분리된다. 하층은 2단으로 나누어 같은 형태의 미닫이문을 달았고‚ 상층은 여닫이문을 단 특이한 형태이다. 천병옥과 석연숙 기증문화재는 일제강점기의 유물로 근대목가구문화를 살필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김수원기증문화재는 소형의 금동여래입상으로 통일신라시대불상 양식을 따르고 있는데‚ 표현양식과 주조기법상으로는 퇴화된 면모를 보이고 있어 통일신라후기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개관을 앞두고 한분 한분의 소중한 문화재 기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은 문화재를 국가적 공유재산으로 승화시키는 숭고한 행위로서 국립중앙박물관은 기증인의 뜻을 받들어 전시연구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수증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