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고구려 쌍영총 벽화 밑그림에서 백색 납안료(鉛白) 확인”

추천0 조회수 24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고구려 쌍영총 벽화 밑그림에서 백색 납안료(鉛白) 확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5-04-2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자‚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고구려 쌍영총 벽화 밑그림에서 백색 납안료(鉛白) 확인” 등록일2005-04-21 조회수967 담당자 유혜선 () “고구려 쌍영총 벽화 밑그림에서 백색 납안료(鉛白) 확인” - 일본 다까마스쓰까(高松塚) 벽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은 2005년 10월 28일 개관준비를 위해 고고관 전시예정품인 고구려 쌍영총 벽화편(기마인물상이 그려진 것)의 보존처리(분석) 과정에서 벽화의 채색안료 밑의 바탕에 백색 납안료인 연백[염기성탄산납/ 2PbCO3ㆍPb(OH)2]을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고구려 무덤벽화의 제작기법은 벽면에 석회를 바르고 그림을 그리거나 석벽에 바로 그림을 그렸는데‚ 쌍영총(A.D. 5c)벽화의 경우는 석회를 바른 다음 윤곽선을 그리고 윤곽 내부에 연백을 도포한 뒤 그림을 그렸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그림이 그려져 있는 부분에서 납이 검출되었고‚ 그림 주변의 여백에서는 납이 검출되지 않은 결과에서 최초로 확인된 것이다. 참고로 1972년 발견된 일본 高松塚(A.D. 7~8c)의 벽화에서도 최근의 연구 조사 결과 연백이 도포된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벽화는 발견당시부터 고구려 또는 백제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알려져 이번의 조사로 “연백” 도포라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제작기법이 일본으로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고구려 쌍영총 벽화 밑그림에서 백색 납안료(鉛白) 확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