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중앙] 구 홍산박물관 소장품 1‚512점 수증

추천0 조회수 8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앙] 구 홍산박물관 소장품 1‚512점 수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4-10-28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자‚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중앙] 구 홍산박물관 소장품 1‚512점 수증 등록일2004-10-28 조회수1145 담당자 장상훈 ()   국립중앙박물관 구 홍산박물관 소장품 1‚512점 수증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은 고 김홍기 선생의 부인 엄순녀씨로부터 구 홍산박물관 소장품 1‚512점을 수증하였다. 이번에 수증한 문화재는 토기 1‚004점을 비롯하여‚ 도자류 150여점‚ 서화류 40여점‚ 고문서류 40여점‚ 목제품 100여점‚ 금속품 100여점‚ 기타 70여점 등이다. 구 홍산박물관은 고 홍산(鴻山) 김홍기(金鴻基) 선생의 유언에 따라 설립된 박물관으로 1992년 8월 설립 당시 문화부 등록 1호 사립박물관이었으며‚ 1999년 5월 문을 닫았다.  이번에 수증된 문화재는 토기 전문박물관이었던 홍산박물관의 성격과 같이 원삼국시대~조선시대의 다양한 토기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기증자가 체계적인 기획을 통해 수집한 방대한 수량의 토기들은 우리나라 토기문화의 정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수증 문화재의 중심을 이루는 삼국시대 토기는 신라‚ 가야‚ 백제 등 각 지역을 아우르고 있으며 거의 모든 기형을 망라하고 있다. 곧 고배(高杯)‚ 장경호(長頸壺)‚ 단경호(短頸壺)‚ 대부장경호(臺附長頸壺)‚ 기대(器臺)‚ 이형토기(異形土器) 등 시대와 지역을 대표하는 토기가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삼국시대의 대형 항아리 20여점은 주목되는 자료이다.  이 밖에도 원삼국시대 토기와 고려~조선의 도기‚ 자기가 다수 포함되어 수집품을 다채롭게 한다. 원삼국시대 토기로는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組合式牛角形把手附壺)‚ 대부장경호‚ 장란형토기(長卵形土器)‚ 고배‚ 노형토기(爐形土器)‚ 승석문호(繩蓆文壺) 등 대부분의 기형이 수집되어 있고‚ 고려~조선의 도기도 편병(扁甁)‚ 매병(梅甁)‚ 정병(?甁)‚ 장군‚ 항아리 등 다채로운 구성을 보인다.  한편 삼국시대 신라의 금동관(金銅冠) 1점은 홍산 선생 수집품의 백미라고 할 수 있을 만하다. 6세기 초중엽 신라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출자형(出字形) 금동관은 동원 이홍근 선생과 변종하 선생 기증 금동관에 이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이 밖에 조선시대 문인들의 간찰류‚ 고문서‚ 서화‚ 목판류 등도 홍산 선생 수집품의 품격을 한층 높이는 주요 문화재들이다.  고 홍산 김홍기 선생은 함경남도 원산 출신으로 한국전쟁시 월남하여 건축자재와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다수의 기업을 운영한 기업가이다. 선생은 “기업 활동을 통해 모은 재산이라 하더라도 일정규모 이상이면 사유재산이 아니므로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평소 소신에 따라 홍산장학재단과 사립박물관 제1호인 홍산박물관 설립을 유언으로 남겼다. 부인 엄순녀 여사는 선생의 뜻을 더욱 높이 받들고 더 많은 일반인이 수집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을 결심했다고 밝혔다.  이번 고 김홍기선생의 수집문화재 기증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은 2001년 겸산 최영도 변호사의 토기 수집품(1‚500여점) 기증에 이어 대량의 토기를 수증하게 되었으며‚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개관을 앞두고 문화재 기증문화 활성화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아무런 조건없이 문화재를 기증한 고 김홍기 선생의 부인 엄순녀 여사의 높고 순수한 뜻을 기리고 일반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오는 2005년 개관 이후 새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품 일부를 전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증자의 뜻에 보답하기 위하여 정부 서훈을 추천할 계획이다. ※ 첨부문서: 1. 기증자약력 ※ 첨부문서: 2. 기증문화재의 성격과 수증의의 ※ 첨부문서: 3. 주요기증품 사진 ※ 문의 :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전화 2077-9380‚ 장상훈 학예연구사)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중앙] 구 홍산박물관 소장품 1‚512점 수증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