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립중앙박물관 테마전

추천0 조회수 7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립중앙박물관 테마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6-08-0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부서‚ 담당자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 테마전 등록일2016-08-01 조회수79 담당부서 미술부 국립중앙박물관 테마전 <흙으로 빚은 조선의 제기(祭器)> ㅇ 전 시 명 : “흙으로 빚은 조선의 제기(祭器)” ㅇ 전 시 기 간 및 장소: 2016년 8월 2일~10월 23일/상설전시실 1층 테마전시실 ㅇ 전 시 품 : 분청사기 상준 등 98건 111점     ※ 새로 소개되는 자료        - ‘황금눈구름무늬 준모양 제기(粉靑沙器黃目尊形祭器)’(14세기 말~15세기 전반)           : 중국 예서에 부합되는 제기를 조선에서 도자기로 제작.        - ‘연꽃무늬 조 (粉靑沙器陰刻蓮花文俎)’(15세기)           : 조선의 제기도설에 보이는 목제 제기를 도자기로 제작.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영훈)은 테마전 <흙으로 빚은 조선의 제기> (2016.8.2.~10.23.)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 도자 제기 98건 118점(외부기관 11건 11점 포함)을 한데 모아  도자 제기를 주제로 처음 공개하는 자리이다. 이 전시를 통해 도자기로 만든 조선 제기가 지닌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고‚ 유교문화의 확산과 함께 도자 제기가 애용되는 과정을 조명한다.   제기는 신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올리고 복을 내려 받음으로써 시공간을 넘어 공동체를 묶어주는 그릇이다. 제기는 금속‚ 목재‚ 도자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그 가운데 도자 제기는 조선 초에 금속의 심각한 부족으로 국가제사에서 금속 제기를 일부분 대신하게 되었다. 이후 도자 제기는 조선시대에 걸쳐‘예(禮)’의 상징이자 예술품으로서 뚜렷한 변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조선시대의 도자 제기는 세 시기(15~16세기‚ 16~17세기‚ 18~19세기)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각 시기별로 도자 제기의 특성이 뚜렷하며‚ 각각 모방과 독창적인 변모를 거쳐 완성의 단계에 이른다. 유교문화의 확대에 따라 사용자층이 점차 왕실에서 향교‚ 사대부까지 넓어지면서 도자기 문화가 파급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전시는 3부로 구성되었다.   1부는 15~16세기를 중심으로 조선 왕실와 관청이 제기도설(祭器圖說)의 금속 제기를 본떠 제작한 도자제기에 대한 것이다. 조선 초에 상감분청사기 제기는 제기도설의 금속 제기 모양처럼 세밀하게 장식되었다. 그러나 점차 조화‚ 철화‚ 귀얄‚ 덤벙분청사기의 단계로 가면서 생략과 변형이 시도되었다. 이어 관요(官窯)가 설치(1466~1469)된 후에는 백자로도 제기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도자 제기는 보‚ 궤‚ 작‚ 준‚ 이 등이다. 그 종류와 제사에서의 쓰임을 살펴보고‚ 각종 조선시대 제기도설의 도해와 함께 전시하였다.  ‘황금눈구름무늬 준모양 제기(粉靑沙器黃目尊形祭器)’(14세기 말~15세기 전반) ‘연꽃무늬 조(粉靑沙器陰刻蓮花文俎)’(15세기)를 처음으로 소개한다. 준모양 제기는 황금눈과  구름무늬가 장식된 제기로‚ 중국 예서에 부합되는 제기가 조선에서 제작된 예이다. 또한 연꽃무늬 조는 조선의 제기도설에 나오는 목제 제기를 도자기로 제작한 예이다.    2부는 16~17세에 제작된 독창적인 백자 제기에 대해 살펴본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 전란으로 피폐해진 향촌사회의 결속과 유지를 위하여 제사가 성행하였다. 전란의 피해와 제사의 성행은 백자 제기의 질과 형태‚ 그리고 생산에 영향을 미쳤다. 제기가 도자기로 만들어지면서 점차 도자기에 맞는 특성으로 형태가 바뀌었다. 16세기에 백자 제기는 장식이 과감히 생략되고 특징이 과장되었고‚ 17세기에는 완전히 추상적이고 독창적인 제기로 변모되었다. 굽 측면을 삼각형(三角形) 또는 반(半)타원형으로 몇 군데 도려낸 분할굽과 몸체의 세로 톱니무늬[거치문(鋸齒文)] 장식띠가 특징이다. 아울러 용인 양지에서 발견된 백자 제기도 선보일 예정이다.      3부에서는 가장 조선다운 백자 제기가 완성되는 18~19세기 제기가 전시된다. 18세기 이후 양반이 증가하면서 가문의 제사도 늘어났다. 사대부가를 비롯한 일반 집안에서는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사당에서 제사를 지냈다. 사당에서 사용되었던 제기는 굽이 높은 백자 제기이며‚ 상당량 생산되었다. 여기에는 청화로 ‘제(祭)’가 쓰여져 있기도 하다. 사대부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게 애용된 단정한 선과 면‚ 정결한 백색의 제기들이 전시된다. 제사의 각 절차에 사용된 도자 제기를 알아 보는 영상과 전시코너도 마련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번 전시가 <흙으로 빚은 조선의 제기>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연계프로그램   -큐레이터와의 대화: 8월 3일·8월 17일·8월 31일·9월 21일(4회)                             / 각 일자 수요일 저녁 7:00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국립중앙박물관 테마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테마전‚ 흙으로 빚은 조선의 제기.pdf(236.2KB)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