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2016년 국립대구박물관 테마전시 “불복장‚ 발원과 염원의 세계” 개최

추천0 조회수 13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2016년 국립대구박물관 테마전시 “불복장‚ 발원과 염원의 세계”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6-07-19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부서‚ 담당자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2016년 국립대구박물관 테마전시 “불복장‚ 발원과 염원의 세계” 개최 등록일2016-07-19 조회수59 담당부서 학예연구실 국립대구박물관 2016년 테마전시 “불복장‚ 발원과 염원의 세계” 개최 ? 전시명 : 2016년 테마전시 <대구 보성선원 석가삼존불상‚ “불복장 발원과 염원의 세계”> ? 기간/장소: 2016.7.19.~2016.10.23 /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시실 ? 전시품: 후령통‚ 발원문‚ 다라니‚ 복장전적 등 불복장 관련 100여 점   국립대구박물관은 2016년 7월 19일(화)부터 10월 23일(일)까지 테마전시 <대구 보성선원 석가삼존불상‚ “불복장(佛腹藏) 발원과 염원의 세계”>를 개최합니다.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위치한 보성선원(寶?禪院)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석가삼존불상(木造釋迦?來三尊像)(사진6)이 있습니다. 원래 거창 견암사(見巖寺)에서 조성되었으나 한국전쟁 시기에 현재의 보성선원으로 옮겨 온 것으로 생각됩니다. 2010년 불상에 금칠을 하는 의식인 개금불사(改金佛事)를 위해 불상 내부의 복장물(腹藏物)을 확인하였습니다. 그 때 본존인 석가여래상과 좌협시 문수보살상(文殊菩薩像)‚ 우협시 보현보살상(普賢菩薩像)의 몸 안에서 발원문(發願文)‚ 후령통(喉鈴筒)‚ 경전(經典) 등의 복장물이 다량으로 발견되었습니다.  복장(腹藏)이란 불상 안이나 불화 뒤쪽에 들어간 여러 종류의 물목(物目)과 이것들을 넣는 의식(儀式)을 말합니다. 언제부터 불상에 복장물을 넣기 시작했는지 정확한 시원은 알 수 없습니다. 다만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 중에 확실한 사례가 남아 있어 이 시대에 정착되었던 것 같습니다. 이후 조선시대에도 불상에 복장을 넣는 전통은 이어졌습니다.  보성선원 불상의 복장물은 만들 당시의 원형을 잘 갖추고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입니다. 그런 이유로 2013년에는 불상과 함께 그 안에 있던 복장물(사진1‚ 2)이 보물 제1801호‚ 복장전적이 제1802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특히 오보병(五寶甁) 안에 있던 물목(사진3)과 불교전적(사진4‚ 5)은 처음으로 공개하는 것으로 불교사(佛敎史)적 가치가 높습니다.  복장은 중생의 눈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상징의 세계이자 천년 이상 이어져 내려온 우리나라 불교의 은밀한 의식입니다. 이번 테마전시로 조선시대 사람들의 염원과 복장의식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전시품 참고사진       사진1 석가삼존불상 복장물(1647년‚ 보물 제1801호)       사진2 석가불상 후령통 내부       사진3 석가불상 남쪽 보병에서 나온 직물       사진4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1460년‚ 보물 제1802호)       사진5 금강반야바라밀경(1440년‚ 보물 제1802호)       사진6 보성선원 석가삼존불상(1647년‚ 보물 제1801호)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2016년 국립대구박물관 테마전시 “불복장‚ 발원과 염원의 세계” 개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