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립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조선 교체 전시 - 19세기 말 조선군이 실제 입었던 면갑옷 첫 상설전시

추천0 조회수 32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립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조선 교체 전시 - 19세기 말 조선군이 실제 입었던 면갑옷 첫 상설전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부서‚ 담당자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조선 교체 전시 - 19세기 말 조선군이 실제 입었던 면갑옷 첫 상설전시 등록일2015-02-02 조회수872 담당부서 고고역사부 국립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조선실 교체 전시 19세기 말 조선군이 실제 입었던 면갑옷 첫 상설전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은 2월 2일 중근세관 조선실에 19세기 말 실제 전쟁에서 입었던 방어용 ‘면갑’을 처음으로 상설 전시한다.   면갑은 면 30겹을 겹쳐 만든 갑옷으로 이 전쟁에 참가했던 ‘공군옥孔君?’이란 사람이 입은 것이다. 면갑의 안쪽에 ‘공군옥孔君?’이란 먹물로 쓴 글씨가 있어 이 면갑의 실제 주인공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의 생애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박규수(朴?壽‚ 1807~1876)의 문집인 『헌재집』에 그의 이름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동일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 이 면갑은 목둘레는 둥글고 앞길이가 길고 뒷길이가 짧은 전장후단형 배자 형태이며‚ 왼쪽 어깨는 솔기가 없이 한 장으로 연결되어 있고 착용을 위해 오른쪽 어깨를 텄다. 소매와 깃이 없고 옆선은 모두 트여 있으며 옆에 달린 고름을 매어 착용하였다. 앞길이 82.5cm‚ 뒷길이 75cm‚ 두께 1.5cm‚ 무게는 5.5kg이다. 6개의 문양이 흑색으로 날인되어 있다. 면을 여러 겹 겹쳐 만든 면갑은 신식 소총으로 무장한 외국 군인들의 총탄을 막을 수 있는 방안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면갑은 조총의 탄알은 막을 수 있었으나 신식 소총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871년 6월 강화도에서 벌어진 신미양요 때 최신식 무기로 무장한 미군들에 비해 조선군은 맨주먹으로 전투하는 것과 다름없이 여러 겹으로 겹쳐 만든 전투복만을 입고 있었을 뿐이었다. 그것이 오히려 더운 날씨에 그들을 탈진 상태로 몰아넣었다. 조선군을 보호해 준 것은 면갑도 다른 어떤 무기도 아닌 그들의 애국심이었다.   이외에도 이번 교체 전시에는 금가루로 쓴 『대학장구?學章句』와 조선국왕이 중국 청나라 황제에게 보낸 외교문서 ‘표문表文’등이 선보인다. 두 개의 ‘표문’은 1827년(순조 27)과 1852년(철종 3)에 중국 청나라 황제에게 올린 것이다. 한자를 먼저 쓰고 끝에 청나라 문자‚ 즉 만주어를 함께 썼다. 표문에 찍힌 도장 역시 한자와 만주어를 함께 사용하였다. 푸른 종이에 금가루로 쓴 『대학장구』도 눈여겨 볼만하다. 푸른 종이에 아교에 갠 금가루로 글씨를 쓰는 것은 불교의 경전을 베껴 쓰거나 부처를 그리는 등 매우 존귀한 대상을 묘사하기 위해 공경한 마음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 『대학장구』는 중국 송나라의 주희朱熹가 사서四書의 『대학?學』에 자신의 해석을 덧붙인 책인데‚ 조선시대 들어와 성리학이 더욱 더 중요시되면서 유학의 핵심 경전인 『대학장구』를 공경하는 당시 사람들의 의식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국립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조선 교체 전시 - 19세기 말 조선군이 실제 입었던 면갑옷 첫 상설전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