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기증으로 꽃피운 문화재 사랑 [기증문화재 특별 공개]

추천0 조회수 281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기증으로 꽃피운 문화재 사랑 [기증문화재 특별 공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9-03-26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부서‚ 담당자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기증으로 꽃피운 문화재 사랑 [기증문화재 특별 공개] 등록일2009-03-26 조회수1492 담당부서 역사부 기증으로 꽃피운 문화재 사랑 기증문화재 특별 공개        ㅇ전시개막 : 2009년 3월 30일 (월) 5:00    ㅇ전시기간 : 2009년 3월 31일 (화) - 7월 12일 (일)    ㅇ전시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기증관 기증문화재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3월 31일부터 7월 12일까지 기증관 기증문화재실에서 “기증으로 꽃피운 문화재 사랑 - 기증문화재 특별공개” 전을 개최한다. 이 전시에는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된 문화재 가운데 엄선한 200여점이 관람객의 발걸음을 기다리게 될 것이다.    올해는 한국에 근대적 의미의 박물관이 설립된 지 100년이 되는 해이다. 100년 동안 한국의 박물관은 규모와 내용 면에서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이와 함께 박물관에 문화재를 기증하고 박물관의 사업을 후원하는 기증 · 기부 문화도 함께 자라났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1946년 처음 문화재를 수증한 이후 모두 242분으로부터  28‚000여점의 문화재를 기증받았다. 기증자들은 집안에 소중히 전해졌거나 정성껏 수집한 문화재를 아무런 대가없이 박물관에 기증했다. 기증 후에도 새로 수집한 문화재를 또다시 기증하거나‚ 박물관에 기증하기 위해 문화재를 수집한 분들도 적지 않다. 이를 통해 기증자와 박물관은 소중한 인연을 보다 깊이 이어가게 되었으며‚ 나아가 박물관 역사에 의미 있는 자취를 남기게 되었다. 이러한 기증자들의 높고 순수한 뜻은 우리 사회의 기증 · 기부 문화를 확산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이 같은 문화재 기증과 박물관 후원의 의미를 보다 널리 알리고자‚ 한국의 박물관 100년을 기념하는 사업의 하나로 기증 · 기부 운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같은 취지에서 이번 전시를 기획하였다.    이번 특별공개에는 우리 선조들의 생활 문화 속에 담긴 멋과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도자기‚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고문서‚ 안익태 선생의 친필 애국가 악보‚ 지금까지 알려진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국어사전 등 우리 문화와 역사를 담고 있는 다양한 문화재가 전시된다. 또한 한글이 써 있는 일본의 도자기‚ 인도에서 옷감을 염색하는 데 사용한 목판 등의 외국 유물도 전시를 더욱 풍성하게 할 것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기증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느껴 보길 기대한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이후로도 새로이 기증되는 문화재를 소개하는 기증문화재 특별공개 전시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문화유산을 모두 함께 나누는 문화재 기증의 참의미를 널리 알려나갈 예정이다.     <안익태가 직접 쓴 애국가 악보> 일부 안익태가 직접 쓴 애국가 악보이다. 전체 4쪽 중 마지막 피아노 반주 악보에 “동해물과 백두산이 말으고 달또록”으로 시작하는 애국가 가사가 써 있다. 앞의 세 쪽은 오케스트라 편곡의 악보이다. 안익태 친필로 남아 있는 애국가 악보는 매우 드물어 자료적 가치가 크다.     <짐승얼굴 무늬 풍로> 세 발 달린 솥 모양의 몸체에 도깨비 얼굴이 형상화된 독특한 작품이다. 모양은 향로와 비슷하나 몸체에 바람이 들어 갈 수 있도록 통풍구를 뚫은 것으로 보아 풍로로 사용한 듯 하다. 비슷한 작례를 거의 찾을 수 없어 그 가치를 더하는 이 작품은 국보 145호로 지정되어 있다.    <한글이 써 있는 찻사발> 일본‚ 17세기‚  후지이 야에 · 후지이 게이 기증 이 한글시문 다완은 일본 교토의 고미술품 수집가였던 후지이 다카아키(藤井孝明) 선생이 소장했던 작품이다. 선생의 미망인 후지이 야에(藤井八重) 씨와 아들 후지이 게이(藤井慶) 씨는 2008년 이 찻사발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9줄의 한글이 써 있는 이 찻사발은 일본 야마구치 현 하기 지방에서 17세기 초 무렵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하기 지방은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잡혀 온 장인들이 정착하여 도자기를 생산하게 된 지역 가운데 하나로 이곳에서 만든 도자기를 ‘하기야키[萩燒]’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때 일본에 가게 된 도자기 장인들은 각지에 흩어져 뛰어난 조선의 도자기 제작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의 도자기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찻사발은 이러한 한일 도자교류의 일면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특히 사발에 적힌 한글을 통해 도자기를 만든 조선 장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찻사발을 기증한 후지이 씨는 한일 교류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는 기증의 뜻을 밝혔다. 5백년 전 한일 도자 교류의 모습을 담고 있는 이 작품이 이제 문화재 기증을 통한 한일 문화 교류의 한 페이지를 의미 있게 장식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기증으로 꽃피운 문화재 사랑 [기증문화재 특별 공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