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아시아관 테마전 “영혼과의 동행-中國陶俑” 개최

추천0 조회수 14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아시아관 테마전 “영혼과의 동행-中國陶俑”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8-10-23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부서‚ 담당자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아시아관 테마전 “영혼과의 동행-中國陶俑” 개최 등록일2008-10-23 조회수569 담당부서 아시아부       국립중앙박물관 아시아관 테마전 [“영혼과의 동행-中國陶俑” 개최]       ㅇ전시일정 : 2008년 10월 28일 ~ 2009년 4월 26일   ㅇ장 소 : 아시아관 낙랑유적출토품실    ㅇ전시유물      - 중국남북조~송대의 진묘수‚ 삼채말‚ 호인용‚ 십이지신상‚ 설창용 등       도용 40여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최광식)은 2008년 10월28일부터 2009년 4월26일까지 아시아관 낙랑유적출토품실에서 테마전 “영혼과의 동행-中國陶俑” 전시를 개최한다. 전시품은 중국의 남북조南北朝에서부터 송대宋代에 이르기까지 제작된 진묘수‚ 삼채말‚ 호인용‚ 십이지신상‚ 설창용 등 도용 40여점이다.     전시의 구성은 먼저 전시실 입구에 무서운 표정으로 눈을 크게 뜨고 앉아 무덤을 지키는 진묘수鎭墓? 한 쌍을 전시하여 관람객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으며‚ 진묘수의 측면에는 12지신상十二支神像을 전시하여 다채로운 도용의 모습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죽은 자의 안위를 위해 시중드는 모습을 취하고 있는 마부와 하인을 비롯하여 소와 말 등의 가축도용들도 함께 전시되어 있어 당시의 생활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한편 당대唐代에 이르면 서역의 문화가 실크로드를 통하여 본격적으로 중국에 유입된다. 이때부터는 가늘고 긴 다리가 특징인 아라비아말과 낙타‚ 그리고 마부나 하인으로 형상화된 서역 사람들의 모습도 도용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당대唐代 도용의 특징으로는 대부분 화려한 삼채三彩로 제작되지만‚ 그 모습이 과장되게 표현되지 않고 표현이 매우 세밀하다. 이를 통해 당시 도용의 제작수준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알 수 있으며‚ 더불어 중국문화 속에 이국의 문화가 어떻게 녹아들어 갔는가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번 전시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베이징[北京]의 경극京劇의 원류가 되는 설창공연의 모습을 표현한 송대宋代 설창용說唱俑을 만나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설창이란 타악기를 두드리며 중국 고사古事의 내용을 창과 희곡의 중간형태로 공연하는 것인데 중국 민간문예의 기원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번 “영혼과의 동행-中國陶俑” 전시를 통해 고대 중국인의 당시의 생활상과 내세관을 이해하고 아시아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넓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뿔 달린 말‚ 彩色馬‚ 南北朝(420~589)  12가지 수호신(호랑이‚ 뱀‚ 개)十二生肖俑‚(618~907)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아시아관 테마전 “영혼과의 동행-中國陶俑” 개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