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실용적이고 정확한 직업정보‚ 노동시장 활성화에 기여”

추천0 조회수 4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실용적이고 정확한 직업정보‚ 노동시장 활성화에 기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2-11-1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직업연구 국제세미나> 11.12(월) 서울 대한상의에서 개최… 美 英 獸 등 직업 전문가 참석 한국고용정보원(원장 정철균)은 11월 12일(월) 오후 1시~ 6시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A(지하2층)에서 직업연구 국제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영국‚ 독일‚ 미국 등 고용서비스 선진국들이 운영하고 있는 직업정보시스템들의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우리나라 직업연구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미국‚ 독일‚ 한국의 직업연구 관련 전문가들이 ‘각국의 직업정보시스템의 현황과 발전’을 주제로 발표한다.   필 루이스 미국 O*NET(미국 직업정보시스템) 운영책임자와 코르넬리아 스프로스 독일 연방고용청 직업정보네트워크 전문가가 각 나라의 직업정보시스템 현황을 소개하고‚ 각국의 직업정보시스템이 진로를 설계하고 직업을 찾는 학생과 구직자‚ 이직희망자들에게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설명한다.    김한준 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장은 미국의 O*NET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한국의 직업정보시스템을 소개하고 직업 관련 콘텐츠를 내실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재직자 조사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영국과 우리나라 노동 및 직업 전문가들이 “노동시장과 직업”에 대해 발표한다.   에드 채프만 영국 사회복지기술위원회 정책연구 관리자는 영국의 직업정보 및 노동시장 정보 수집 방법과 함께 고용주 입장에서 이들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설명한다.   또한 박명수 고용정보원 선임연구위원은 발제문 <한국 노동시장의 과제 : 일-직업-경력 연계하기>에서“사회 변화에 따른 직업정보가 제대로 효율적으로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된다면 구직자들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을 찾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다양하고 실용적인 직업정보는 노동시장의 미스매치를 해소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밝힌다.   한상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직업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과 연구 인프라의 구축‚ 직업세계 변화 파악을 위한 국제비교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발표한다. 문  의:  직업연구센터  김 균 (02-2629-718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