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정순택 유해 인도 관련(종합)

추천0 조회수 6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순택 유해 인도 관련(종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5-10-0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O 정부는 오늘 오후 18:40 에 인도적 차원에서 남파간첩 출신 정순택의 유해를 북측에 인도하였음. * 정순택은 ‘49년 공무원 재직 중 월북‚ ’58. 7.26 남파 간첩으로 체포‚ 32년 복역후 ‘89.12.24 전향 후 가석방 출소‚ ’05.9.30 암으로 사망 O 정순택은 지난 ‘00년 9월 비전향 장기수 송환시 북으로 가기를 희망하였으나‚ 전향자로서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그동안 줄곧 북송을 희망하여 오다가‚ 최근 지병인 췌장암이 악화되어 지난 9월초 입원하였음. - 당초 병원측은 정씨가 3~6개월간 생존이 가능하다는 소견이었으나‚ 지난 9.30 갑자기 패혈증이 합병증으로 진행 - 이에 따라 우리측은 인도적 차원에서 북측에 거주하는 가족이 임종이라도 지켜볼 수 있도록 북측에 요청하였으나‚ 안타깝게도 가족이 임종을 지켜보지 못하고 9.30 18:30경 사망 * 정순택의 가족은 처와 아들 4명이 북측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측에 거주하는 직계가족은 없음. O 이에 우리는 정순택 사망 사실을 북측에 통보(9.30 22:30경)하고 북측이 유해 인도를 희망해(10.2 09:30경) 옴에 따라‚ 남북간 연락관 접촉을 통해 금일(10.2) 18:40 정순택의 유해를 북측에 인도하였음. O 정부는 ‘00년 6.15 남북공동선언에 따라 ‘00년 9월에 비전향장기수 83명중 송환을 희망하는 비전향장기수 63명 전원을 송환한 바 있음. - 당시 전향자 3명(故 정순덕‚ 故 정순택‚ 맹기남)도 송환을 희망하였으나 대상에서 제외되었는 바 - 이들은 그후 계속 송환을 요구하던 중 정순덕은 ‘04.4.1‚ 정순택은 ’05.9.30 사망하였음. O 통일부 장관은 지난 9.22 통일부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시‚ 여야 의원으로부터 장기수 출신의 북송에 대한 긍정적 검토 용의를 묻는 질문에 대해 - “인도주의적·인간적 차원에서 검토할 용의가 있다”고 답변한 바 있음. O 정부는 장기수 북송문제를 검토하던 중이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갑자기 정순택의 병세가 악화되어 북측 가족의 임종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을 아쉽게 생각함. - 우리측이 정순택의 북측 거주 가족의 임종을 요청하고‚ 북측의 요청에 따라 유해를 지체없이 송환하기로 결정한 것은 전적으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의 조치로 - 남북간 첫 사례가 되며‚ 이러한 조치가 남북관계의 화해와 인도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함. 통일부 대변인 *보도참고자료 첨부 : 비전향장기수 송환현황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unikore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