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2000년도 북한의 농민시장 물가동향

추천0 조회수 137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2000년도 북한의 농민시장 물가동향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0-12-2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1. 시기별 농민시장 물가동향  o 금년들어 농민시장 가격은 전반적으로 '99년보다 하락   - 종합적인 소비품 가격지수는 '98년 100 → '99년 125.8 → 2000년 110.6으로 변화하였으며‚ '99년보다는 12.1% 하락   - 자체 생산 증가 및 국제사회 지원으로 상품 공급이 증가하였고 배급체계가 부분적으로 재가동되었기 때문     ※ 금년도 북한 경제는 투입 노동력 증대‚ 생산여건 개선 등에 힘입어 광공업 및 건설부문의 생산이 증가한 것으로 평가  o 곡물류‚ 육류 등 식료품의 가격은 대체로 하락한 반면 피복류‚ 잡화·서비스 등 문화생활 관련 품목은 가격 상승   - 식량난이 다소 완화되면서 주민들의 문화생활수준 향상에 대한 욕구가 상대적으로 커졌기 때문 < 전년대비 2000년도 가격변화 > (단위: %) 상 품 군 가격변동율 상 품 군 가격변동율 곡 물 류 -12.9 외 식 류 -7.0 육    류 -17.6 일반가구류 -6.3 어 패 류 -29.6 피 복 류 5.0 채소·해초류 -14.1 의약품류 -28.7 과 실 류 -17.3 문 구 류 23.3 조미료류 -22.8 잡화·서비스 8.3 간 식 류 -35.6     음료·주류 20.4 전    체 -12.1  ※ 전체 가격변동율은 상품군별 거래량을 감안하여 조정한 통계수치  o 특히 곡물류 가격은 '98년 이후 내림세 지속   - 곡물류의 가격지수는 '98년 100 → '99년 77.6 → 2000년 60.5로 '98년보다 39.5% 하락   - 그러나 국정가격에 비해서는 600여배 이상으로 아직도 비싼 편   - 곡물가의 하락 추세는 '97년 이후 북한의 곡물 생산량이 증가해온 것과 반비례 관계  ※ 북한 곡물 생산량 추이: '97년 349만톤 → '98년 389만톤 → '99년 422만톤(전년도 생산량이 당해연도 곡물가에 영향)  o 곡물가 하락에도 불구‚ 기존 배급량(500g/1일 내외)만큼의 식량 구입에는 일반 가계소득(월 160원 내외)의 10배 이상이 필요   - 텃밭 등 자체적인 생산능력이 있거나 상업에 종사하는 가계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민은 여전히 생활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  2. 지역별 농민시장 물가동향  o 전반적으로 북·중 접경지역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가격이 높아지는 경향   - 지역 평균을 100으로 볼 경우 각 지역의 가격지수는 접경지역 97.2‚ 함흥 98.7‚ 평양 104.2 순  ※ 지난해의 경우에도 금년도와 마찬가지로 평양이 접경지역보다 가격이 높은 양상   - 농민시장 상품의 상당부분이 중국으로부터 조달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접경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수송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풀이  o 지역별 농민시장의 가격 차이는 전년보다 다소 감소   - 전반적인 지역별 가격 편차는 '99년 55.9 → 2000년 51.7로 감소  ※ 지난해의 경우에는 '98년보다 지역간 가격 차이가 심화   - 지역간 가격 차이의 감소는 상품의 지역간 이동이 지난해보다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반영  o 지역별 가격 편차가 큰 상품군은 채소·과일류‚ 생필품류이며‚ 가장 작은 상품군은 곡물류   - 채소·과일류‚ 생필품류의 경우 장거리 운송이 곤란하고‚ 각 지역 생산품이 주로 당해지역내에서 소비되기 때문으로 판단   - 곡물류의 경우 식량난과 관련‚ 상인들의 지역간 이동 판매가 활발하였기 때문으로 풀이  3. 종합 평가  o 농민시장 가격은 상품의 수급상황에 따라 결정되며‚ 국정가격보다 최소 수십배 이상 비싼 실정   - 북한 주민들은 농민시장에서의 가격 흥정‚ 이윤 추구 등으로  점차 「시장경제적 마인드」가 형성   - 국정가격과의 현격한 가격 차이는 공식부문으로부터 생산요소(자본‚ 노동력 등)의 유출을 유발하는 등 부작용 초래  ※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에서의 가격(국정가격)은 중앙당국이 정책적 목표에 따라 「제정」하는 것으로 상품의 수급상황 및 주민의 선호체계를 미반영  o 금년도 농민시장은 가격이 하락하고 지역간 차이가 줄어드는 등 상품 수급상황이 지난해보다 안정화된 것으로 판단   - 농민시장의 주요 거래품목인 곡물의 공급량이 증가한데 주로 기인  o 그러나 금년도 농업 생산이 감소함으로써 외부 공급(국제사회 지원 및 자체 수입)이 증가하지 않을 경우 이는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 "올해 가뭄‚ 고온‚ 태풍으로 140여만톤의 곡물 손실을 볼 것"(북한 농업성 국장‚ 9.25 담화 내용)  첨 부 < 주요 품목의 농민시장 가격 변화 > (단위 : 북한원‚ %) 분    류 품    목 단 위 '99가격 2000가격 변동율 국정가격 곡 물 류 쌀 강냉이알 밀 가 루 ㎏ ㎏ ㎏ 64 33 45 47 27 43 -27 -18 -4 8전 3전 6전 육 어 류 돼지고기 계    란 말린명태 ㎏ 개 마리 160 13 34 130 12 39 -19 -8 15 10원 17전 - 채소 및 과일 배    추 미    역 사    과 포기 ㎏ 개 20 31 33 8 67 23 -60 116 -30 5전 5원 10전 조 미 료 소    금 된    장 고추가루 ㎏ ㎏ ㎏ 32 31 290 19 50 274 -41 61 -6 20전 20전 1.5원 간식 및 기호품 빵 꿀 맥    주 개 500g 병 15 288 68 12 279 53 -20 -3 -22 - 5원 50전 기 타생 필 품 페니실린 세수비누 셔   츠 병 개 벌 47 66 472 25 64 614 -47 -3 30 - 3원 20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unikore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