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8.15제의>에 대한 북한반응

추천0 조회수 100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8.15제의>에 대한 북한반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1998-08-2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보도자료 {8.15제의}에 대한 북한반응 □ 개 요 o 8.20 조평통 서기국 {공개질문장}을 통해 우리정부의 통일안보정책을 비난하고 5개 항목을 질문 - 미군주둔‚ 국가보안법·안기부‚ 대북정책‚ 안보태세 강화‚ 불법이적단체 단속 등 o 대북제의 5일만에 조평통 {공개질문장} 형식으로‚ 우리측의 대화재개 촉구에 대한 입장을 유보한채 기존의 주장을 재강조함으로써 사실상 거부 - 우리정부의 통일안보정책을 비난하면서도 대통령에 대한 거명비난은 여전히 자제 * 문민정부 초기『8.15경축사} (핵개발 포기 요구)에 대해서는 노동신문 논평을 통해 "비열하고 파렴치한 모략선전"이라고 비난 ('93.8.17) □ 의도와 전략 o 이례적인 공개질문을 통해 대북정책 전반을 문제삼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대화 거부의사를 밝힌 것은 우리측의 제의를 직접 거부할 명분이 없는 곤혹스러움을 반영 o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 - ① {대화상설기구 설치}‚ {특사파견} 그 자체는 통일지향을 자처하는 북한의 입장에서 비난하기 곤란 - ② 시기적으로 내부 정치일정(최고인민회의 제1차회의‚ 주석추대 등) 상 남북대화 재개여유 부재 - ③ 최근 우리당국을 "반통일‚ 반민족 파쇼집단"으로 강도 높게 매도해온 상황에서 당국간대화 명분 미약 - ④ 우리내부 상황을 대남 통일전선전술 구사의 호기로 판단‚ 당국간 대화재개로 인한 기회상실 우려 등 o 한편‚ 우리측의 대화재개 촉구에 대한 언급없이 그들의 주장을 『원칙적이고도 현실적인 문제』라고 못박고 있는 것은 대화여지를 남겨두면서 우리측의 정책변화를 유도하려는 전략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unikore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