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한반도국제포럼 2014(Korea Global Forum 2014)」 개최

추천0 조회수 4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반도국제포럼 2014(Korea Global Forum 2014)」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09-24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한반도국제포럼 2014(Korea Global Forum 2014)」 개최  o 통일부는 동아시아연구원(EAI‚ 원장 이숙종)과 공동주관으로「한반도국제포럼 2014(KGF 2014)」를 9.25(목)~26(금)간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함.  o 한반도국제포럼(KGF)는 2010년 창설이래 5회째를 맞이하며 매년 한?미?일?중?러?유럽?아시아 등 10여개국의 전?현직 관료 및 민간전문가들이 참석하는 다자협의체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음.     * 올해는 한?미?일?중?러?영?독?프?호주?싱가폴 등 10개국에서 전?현직 정부관계자 및 민간 전문가 18명을 포함‚ 일반청중 및 대사관 관계자 등 총 250여명 참가 예정  o 지난 해에는 새정부 출범이후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추진과제'에 대한 다방면의 의견을 수렴한 바 있으며‚     - 금년도에는 ‘통일대박론’이후 활발해진 한반도 통일논의의 국제적 공감대 확산차원에서 ‘한반도 통일에 이르는 길(Path to Korean Unification)’의 핵심가치를 ‘신뢰?평화?번영(Trust?Peace?Prosperity)’에 두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포럼의 대주제로 정하게 되었음.     -  1세션에서는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를 진단하고 이러한 정세변화 속에서 한반도 통일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를 한 후‚  2세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도전 과제에 대해 심도있게 토론할 예정임.     * 독일 통일 20주년을 맞이하여 처음 개최된 2010년 KGF는 ‘세계적?지역적 관점에서 본 한반도’라는 주제로 통일환경에 대해 다루었으며‚ 남북관계 교착국면이 지속된 상황에서 진행된 2011년 KGF는 ‘한반도 문제의 해결방안 모색’‚ 통일준비론이 제기된 2012년에는 ‘평화와 통일-한반도 문제의 담론화’라는 주제로 포럼이 진행 된바‚ 연도별 주요 핵심이슈를 포럼 주제로 선정해 왔음.  o 특히 이번 한반도국제포럼에서는 류길재 통일부 장관의 기조 연설(25일)과 커트 캠벨 前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의 특별강연(26일)이 예정되어 있음.    - 통일부 장관은 금번 회의 주제에 맞게 남북관계의 신뢰회복을 위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향후 추진 방향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의지‚ 한반도와 동북아의 공동번영을 위한 정책 방향에 대해 연설할 예정임.    - 커트 캠벨은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부소장‚ 오바마 행정부 1기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를 역임(2009.6-2013.2)하는 등 한반도 정세 및 대북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물인 바‚ 이번에 특별 강연을 수락하였음.  o 내년도에는 광복 70주년 등 의미있는 해를 맞이하여‚ 1년에 한차례 개최하던 KGF를 상?하반기로 나누어 개최할 것을 고려 중이며‚ 주제 및 참석자 선정도 광복 70주년 의미에 부응하도록 노력할 예정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unikore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