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05년도 김정일 위원장 공개활동 동향 분석

추천0 조회수 7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05년도 김정일 위원장 공개활동 동향 분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6-01-23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조문 1. 개 요 o 김정일 위원장의 '05년도 공개활동은 총 131회이며‚ '94.7 김일성 주석 사망 이후 가장 활발히 공개활동을 전개하였음. - 분야별로는 군관련 활동 70회(53%)‚ 경제관련 현지지도 19회(15%)‚ 외빈접견 등 대외활동 29회(22%) 및 공연관람 등 기타활동 13회(10%) 등 임. ※ 공개활동 분류 ▲ 군관련 : 군부대 시찰‚ 軍 공연 관람‚ 軍 운영 사업장 시찰 ▲ 경 제 : 공장·기업소 및 건설현장 등 현지지도 ▲ 대 외 : 외국방문‚ 외국대표단 접견‚ 해외예술단 공연관람 등 ▲ 기 타 : 각종행사 참석‚ 기관 방문‚ 일반공연 관람‚ 명승지 방문 등 - 시기별로 공개활동 最低月은 3월(3회)‚ 이시기 평양에는 조류독감이 발생하였으며‚ 특이 사유없이 최고인민회의를 당초 3.9에서 4.11로 연기하기도 하였음. · 공개활동 最高月은 10월(21회)로 黨 창건 60周(10.10) 및 北-中 정상회담(10.28-30)이 있었음. 월평균 공개활동 횟수는 11회임. - 수행인물은 軍部 인물 이명수(43회)·현철해(43회)·박재경(44회)‚ 黨 인물 김기남(31회)·황병서(33회)·이재일(25회)‚ 政 인물 박봉주(29회)·강석주(20회) 등 총 42명임. 2. 공개활동 특징 분석 o '94.7 권력승계 이후 지난해 가장 활발한 공개활동을 전개하였는바 ※ 연도별 공개활동 : '95년 35회 → '98년 70회 → '00년 73회 → '02년 '99회→ '04년 92회→ '05년 131회 - 이는 [6.15] 5周‚ [광복·黨 창건] 60周 등 관련 행사 참석과 대외인사 면담 등이 증가한데 기인한 것으로 보임.   분 야 별 o '03‚ '04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전체 공개활동의 절반 이상을 군관련 활동에 치중‚ 軍 戰備태세를 지속 점검하고 대내·외에 체제보위 의지 및 선군정치 시위하였음. * 군관련 활동 치중은 선군정치 표방 가운데 02.10 핵위기 및 03.3 이라크戰 발발에 자극받아 심화되는 양상(02년 38회→ 03년 63회→04년 60회→05년 70회) o 대외 인사 면담은 전통적 우방인 중·러에 편중되고 있는바 양국과의 관계증진을 통해 핵위기 관련 국면 타개 및 경제난 해결에 활용하는 측면이 있음. ※ 중 국 : 정상회담 1회‚ 고위인사 접견([당가선] 등 3회)‚ 공연관람 (1회) ※ 러시아 : 고위인사 접견([폴리콥스키] 등 4회)‚ 駐北 러시아 대사관 방문(1회)‚ 공연관람(6회) 기타(2회) o 농·축산 및 경공업 현장 방문 등 경제 현지지도 대폭 증대(10회→19회)‚ 경제개선 관련 적극적 행보를 시현하였음.   시 기 별 o 每年 4월은 김일성 생일(4.15)‚ 創軍일(4.25) 기념 대내행사 등으로 인해 공개활동이 활발한 시기임. o 지난해 하반기 특히‚ 黨창건 60周(10.10)를 前後한 시기(9-12월)에 총 공개활동의 53%인 69회의 공개활동 실시‚ 자신의 건재 및 국정운영의 자신감을 대내외에 표출하였음.   수 행 인 물 o 수행인물은 총 42명으로 '04년 38명과 유사함. - 김영춘(18회)‚ 김일철(21회)‚ 이명수(43회)‚ 현철해(43회)‚ 박재경(44회) 등 군부인물 수행비중 여전히 높은 편이며 - 黨에서도 비서들인 김기남(16→31회)‚ 김국태(9→18회)와 함께 최태복(2→21회)의 수행빈도가 증가하고‚ 제1부부장 리재일(3→25회) 및 부부장 황병서(0→33회)도 黨內 김정일 측근인물로 부상하였음. o 內閣에서는 대외문제 관련 강석주(8→20회)의 수행빈도가 높은 가운데 경제관련 박봉주(5→29회) 총리의 위상이 대폭 강화된 것으로 보여짐. o 10회이상 수행인물도 '04년 6명에서 '05년 14명으로 다시 늘어나는 등 예년 수준으로 회복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 10회이상 수행인물 변화 : '01년 12명→ '02년 12명→ '03년 11명→ '04년 6명→ '05년 14명(붙임 [김정일 위원장 공개활동 수행인물 현황] 참조) 3. 전 망 o 금년도 예상되는 김정일의 공개활동은 - 군부대 방문에 가장 높은 비중을 두어 [선군정치] 기조에는 변화가 없음을 과시하는 가운데 - 올해 신년공동사설에서 농업을 주공전선으로 再 채택하고‚ 인민경제 개건·현대화를 중요 경제전략으로 설정한데 이어 △ 연초부터 중국을 비공식 방문하여 경제특구 현장을 시찰하는 등 개혁·개방 의지를 대내외에 나타낸 점으로 보아 △ 경제발전 독려 차원의 현지지도 활동에 비중을 둘 것으로 보임. 붙임 : 김정일 위원장 공개활동 수행인물 현황 1부. //끝// < 붙 임 > 김정일 위원장 공개활동 수행인물(10회이상) 현황   구분 '03년 '04년 '05년 성 명 직 책 횟수 성 명 직 책 횟수 성 명 직 책 횟수 1 현철해 총정치국 조직부국장 36 현철해 총정치국 조직부국장 55 박재경 총정치국 선전부국장 44 2 박재경 총정치국 선전부국장 34 박재경 총정치국 선전부국장 51 리명수 총참모부 작전국장 43 3 리명수 총참모부 작전국장 31 리명수 총참모부 작전국장 47 현철해 총정치국 부국장 43 4 김영춘 총 참 모 장 22 리용철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35 황병서 당 부부장 33 5 김기남 당 비서 18 김영춘 총 참 모 장 21 김기남 당 비서 31 6 리용철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17 김기남 당 비서 15 박봉주 내각 총리 29 7 김국태 당 비서 16 리재일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25 8 김용순 당 비서 15 김일철 인민무력부장 21 9 최춘황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14 최태복 당 비서 21 10 김일철 인민무력부장 12 리용철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21 11 장성택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12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 20 12 김영춘 총 참 모 장 18 13 김국태 당 비서 18 14 김양건 국방위원회 참사 1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unikore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