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옛 방식 그대로‘전통 모내기 체험’성황

추천0 조회수 5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옛 방식 그대로‘전통 모내기 체험’성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6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옛 방식 그대로‘전통 모내기 체험’성황 2015-05-26 대변인실3 옛 방식 그대로‘전통 모내기 체험’성황【농업박물관】462-2796 -농업박물관‚ 중요무형문화재 ‘남도들노래’ 시연도 함께 펼쳐져- 전라남도농업박물관은 초?중?고 학생 및 동반가족 3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옛 방식에 의한 전통 모내기 시연과 체험행사를 지난 23일 농업테마공원 벼 한 살이 체험장 일원에서 성황리에 치렀다. 이번 행사는 농업박물관이 지난 4월 조성한 못자리에서 자란 모를‚ 행사 참가자들이 직접 손으로 쪄 내어 못줄을 띄워가며 전통 방식대로 모를 심는 체험행사였다. 농업박물관은 체험에 앞서 참가자 등록을 마치고 국가 지정 중요무형문화재(제51호)로 지정된 남도들노래보존회원(회장 이영자) 30여 명을 초청해 들노래 시연을 펼쳤다. 이어 참가자들에게 못자리에 들어가 한 뼘 정도 자란 모를 손으로 직접 쪄서 ‘모춤’을 만들게 하고‚ 이를 지게에 져 써레질이 끝난 논으로 옮기게 한 다음 못줄을 띄워가며 한 줄 한 줄 모를 심도록 했다. 모내기가 끝난 뒤 참가자 전원에게 못밥(설렁탕)과 농주 등 옛 농부들이 협동노동 후 들녘에 옹기종기 모여앉아 나눠먹던 먹을거리를 제공해 벼농사와 농업의 중요성을 일깨우도록 했다. 김우성 전라남도농업박물관장은 “이번 전통 방식의 모내기 체험은 선조들의 협동정신과 전통 농업의 중요성을 알리는 행사였다”고 말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국내 최초 우리밀 글루텐 개발 성공 2015-05-26 다음글 이 지사‚ 숲사랑 캠핑페스티벌서 현장 둘러봐 2015-05-25 리스트 전체게시물(25841) / 전체페이지(2585) 보도자료 게시판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등 정보제공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파일 조회 22851 복지재단‚ 복지자원 네트워크로‘온정의 전남’앞장 대변인실3 2015-05-27 446 22850 전남도‚ 대학서 금연사업 발대식 대변인실3 2015-05-27 474 22849 광양-여수 간 해저터널 사업 본궤도 대변인실3 2015-05-26 667 22848 전남도‚ 2015년 제1회 추경 2천818억 원 증액 대변인실3 2015-05-26 567 22847 이 지사‚“KTX무안공항 이용객 증가…맞춤형 전략을” 대변인실3 2015-05-26 606 22846 국도 효율성 높일‘국도의 지선’조속 지정을 대변인실3 2015-05-26 526 22845 전남도 재난대응매뉴얼‚ 전국 최고 대변인실3 2015-05-26 533 22844 국내 최초 우리밀 글루텐 개발 성공 대변인실3 2015-05-26 589 22843 옛 방식 그대로‘전통 모내기 체험’성황 대변인실3 2015-05-26 441 22842 이 지사‚ 숲사랑 캠핑페스티벌서 현장 둘러봐 대변인실3 2015-05-25 723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jeonna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