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남해안 공룡화석지‚ 강진 도요지 등 세계유산 등재 추진상황 보고회 개최

추천0 조회수 20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남해안 공룡화석지‚ 강진 도요지 등 세계유산 등재 추진상황 보고회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5-09-09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남해안 공룡화석지‚ 강진 도요지 등 세계유산 등재 추진상황 보고회 개최 2005-09-09 jeon31 남해안 공룡화석지‚ 강진 도요지 등 세계유산 등재 추진상황 보고회 개최 o <남해안일대 공룡화석지>와 <강진 도요지>를 비롯한 우리나라 세계유산 잠정목록 9개소에 대한 세계유산 등재 추진상황보고회를 9월 9일(금) 오전 10시부터 국립고궁박물관 대강당에서 문화재청 주관으로 실시한다. o 이번 보고회는 세계유산 등록과 보존관리에 대한 최근 경향 및 정보를 공유하고‚ 세계유산 확대 등록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응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인데 문화재청의 관계부서‚ 현재 세계유산 잠정목록을 보유하고 있는 지자체와 관련 학계 인사들‚ 그리고 시민단체가 참여하는데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의미를 재확인하고 우리나라 유산의 세계유산 등재 확대와 온전하고 지속가능한 보존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논의하게 된다. o 발표 내용은 잠정목록을 보유하고 있는 지자체들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추진상황에 대한 발표 외에도 문화재청이 마련한 “잠정목록 및 세계유산 등재 국내절차 개선방안”과 관련 전문가들이 “세계유산 관련 국제동향과 국가전략”(UNESCO 한국위원회 허권 부장)‚ “세계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ICOMOS 한국위원회 이혜은 교수)‚ 그리고 “세계자연유산의 보존과 관리”(IUCN 한국위원회 조도순 교수)에 대하여 주제발표를 할 예정이다. o 특히‚ 전남지역은 전국 9개소의 잠정목록 가운데 해남군‚ 보성군‚ 여수시‚ 화순군과 경남 고성군 일원에 소재한 <남해안 공룡화석지>와 <강진 도요지> 등 2개소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번 보고회를 계기로 세계유산등재가 보다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o <남해안일대 공룡화석지>는 중생대 백악기에 세계 최대 규모의 공룡발자국화석 산지이며‚ 매우 다양한 공룡화석이 산출되고 있다. 그리고 매우 넓은 규모이면서 보존상태가 완벽한 공룡알 화석산지‚ 세계최대규모의 익룡발자국 화석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물갈퀴새 새발자국 등이 특징적이다. 또한 규화목‚ 각종 생흔화석과 건열‚ 연층 등의 퇴적구조와 함께 아름다운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 해남 우항리 화석지에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초대형 초식공룡발자국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물갈퀴 새발자국‚ 아시아에서 최초 발견이자 최대규모인 익룡발자국이 있다. - 보성 공룡알 화석은 보존상태가 거의 완벽한 세계적 규모의 공룡알 및 공룡알 둥지로서 세계적 규모(직경 1.5m)의 공룡알 둥지가 산출되며 보존상태가 완벽한 모양의 새끼공룡뼈가 발견되었다. - 화순 화석지에는 육식공룡(수각류) 발자국들이 약 20여개의 매우 긴 보행렬(최대52m)을 가지고 나타나며 약 1‚000여점 이상의 육식공룡 발자국 긴 보행렬로는 세계적으로 희귀하다. - 여수 화석지는 사도‚ 추도‚ 낭도‚ 적금도‚ 목도 등 5개 섬 지역의 백악기 퇴적층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양적인 면에서 세계적 규모일 뿐만이 아니라 세계 최대 길이로 평가되는 조각류 공룡발자국 84m 보행렬이 있다. - 고성 화석지에서는 총 420 여개의 발자국 보행열에 약 3‚800여개의 공룡발자국이 산출되었는데 양적으로나 다양성에 있어서 세계적이다. o <강진 도요지>는 강진군 대구면 일대에 고려시대 청자와 도기를 구웠던 183개의 가마터가 분포하고 있으며‚ 고려시대 전 시기(10세기∼14세기)의 도요지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곳에서 출토되는 도자기 조각들은 기형(器形)과 기법‚ 채색 등이 다양하여 고려자기의 발생 및 그 발전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사적 제68호로 지정되어 있는 강진 도요지는 다른 지역에서는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특징과 한국도자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문화유산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2006년 농어촌진흥기금 융자안내및 신청서식 2005-10-25 다음글 외국산 애완용 곤충 불법거래 특별 단속 안내 2006-02-22 리스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jeonna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