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내 자생 희귀 상사화 한눈에

추천0 조회수 189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내 자생 희귀 상사화 한눈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07-03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국내 자생 희귀 상사화 한눈에 2014-07-03 대변인실 국내 자생 희귀 상사화 한눈에【산림자원연구소】336-6303 -전남산림자원연구소‚ 화목원에 특화구역 조성해 연구자료 활용키로- 국내에 자생하는 희귀 상사화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상사화 특화구역이 조성된다.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는 나고야의정서 채택에 따른 국내 토종자원의 가치와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생물유전자원 다양성 확보 일환으로 현재 조성 중인 화목원에 상사화 특화구역을 조성‚ 일반인에 공개하고 연구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화목원은 연중 꽃이 피는 화목류를 위주로 느티나무 등 나무은행으로 기증받은 노거수와 국내 자생 상사화류를 도입해 도민들의 휴식공간 및 교육의 장으로 제공될 예정이며‚ 이를 증식해 새로운 품종 개발에 필요한 유전자원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상사화는 ‘수선화과’ 식물로 제주도를 포함한 중부 이남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8~9월 분홍색 꽃이 피며‚ 관상용으로 심고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약재로 쓰기도 한다. 잎이 있을 때는 꽃이 없고‚ 꽃이 필 때는 잎이 없으므로 ‘잎은 꽃을 생각하고‚ 꽃은 잎을 생각한다’고 하여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전남도산림자원연구소에서 도입한 상사화 종류는 국내 자생종 6종류다. 흰색‚ 분홍‚ 붉노랑‚ 진노랑‚ 주황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피는 꽃들을 7월 말부터 9월까지 한 곳에서 볼 수 있다. 박화식 전남도산림자원연구소장은 “일반인들이 흔히 붉게 피는 석산(꽃무릇)을 상사화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곳에 오면 상사화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있어 학생들이나 야생화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훌륭한 교육의 장이 될 것”이라며 “최근 생물종 감소와 생태계 파괴의 가속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범지구적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연구소도 이 같은 흐름에 맞춰 국내 토종자원 확보 및 전시?연구 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심정지 환자 생존율 높이기 총력 2014-07-03 다음글 문 열고 냉방 영업하면 과태료 부과 2014-07-03 리스트 전체게시물(25844) / 전체페이지(2585) 보도자료 게시판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등 정보제공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파일 조회 20514 도립도서관‚‘책 읽는 가족’4가족 선정 대변인실 2014-07-05 848 20513 이 지사‚ 농아인 아픔 함께 하며 위로 대변인실 2014-07-04 808 20512 119 구급대원 폭행 강력 대응키로 대변인실 2014-07-04 924 20511 여름 무더위장마 가축 방역사양관리 철저를 대변인실 2014-07-04 773 20510 이 지사‚ 공약 이행 첫걸음…산업현장 시찰 대변인실 2014-07-03 986 20509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현장 점검 대변인실 2014-07-03 847 20508 전남도‚‘생명의 땅‚ 전남’ 실현 조직개편안 입법예고 대변인실 2014-07-03 2421 20507 6일 F1경주장서 도지사배 모터사이클 오프로드 대회 대변인실 2014-07-03 886 20506 전남도‚ 유휴시설을 생활문화공간으로 바꾼다 대변인실 2014-07-03 925 20505 심정지 환자 생존율 높이기 총력 대변인실 2014-07-03 753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jeonna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